15 우리나라 벼농사와 품질개량 역사
![](https://blog.kakaocdn.net/dn/cSrJsM/btr0VLhDMuZ/QcfipU8xQgLwMkfntrFiv0/img.jpg)
목차
1. 우리나라 벼농사의 역사
2. 우리나라 벼농사 기술
3. 우리나라의 벼품종 개량
1. 우리나라 벼농사의 역사
1. 재배벼의 한국전래
1. 우리나라 벼농사의 역사
1.
전파경로에 대한 가설
![](https://blog.kakaocdn.net/dn/d9dTIv/btr0KR4cWU5/schzzGERlh50HVrzQwbAVK/img.png)
재배벼의 한국전래
전파경로에 대한 가설
![](https://blog.kakaocdn.net/dn/0UmdC/btr0NIeKKIY/vPRMHy7aLj0ywkIOVE2xi0/img.png)
재배벼의 한국전래
1. 우리나라 벼농사의 역사
1.
일본의 재배벼
![](https://blog.kakaocdn.net/dn/bmhALv/btr1lvRE4ul/ypLTuEJ4WXkKBUUd2wfz8k/img.png)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삼국사기(백본기)
: 낮은 습지대에 논을 일구어 벼농사 (AD 33)
삼국사기(신라본기)
: 저수지를 만들어 논물을 대었다 (AD 330)
- 의림지(제천), 수산제(밀양), 공검지(상주), 대제지(의성)
- 직파재배에서 이앙재배로 발달
※ 수서 동이전 신라조 (당나라 태종, AD 636) :
“봄엔 보리를 심어 가꾸고 여름에는 물을 대서 벼를 심었다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경주 황오리 무덤 : 무쇠가래, 쇠스랑, 왕겨
고려시대(12C) : 논개간사업 권장 (세금, 소작료)
고려 말(14C) : 수차를 이용한 관개, 기상에 따른
재배법 권장(직파 및 이앙)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농사직설(정초, 1429) : 볍씨 고르기, 파종 방법,
논갈이 방법
“가을에는 깊게 봄에는 얕게”
- 수경(파종방법) : 무논직파법, 마른논 직파법
- 사방(손이앙법) : 못자리는 본답의 1/10, 충실한 볍씨를 골라
파종하며, 이앙은 1주 3본으로 한다.
금양잡록(강희맹, 1491) : 벼품종과 특성 기록,
적지 적품종 재배 권장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2. 우리나라 벼농사 기술
1.
. 농가월령(고상안, 1616) : 벼재배 양식에 따른 재배 시기 및 품종 기술(24절기에 따른 재배방법 기술)
- 예) 청명 (4/5) : 못자리를 만든다 소만 (5/20) : 이앙
보통 재배의 경우 : 5/5일경 못자리, 망종 (6/6) 모내기 시작; 만기 재배의 경우: 하지(6/21)까지 이앙
무논직파시 – 이른벼 : 청명에 파종; 보통벼 : 하지까지 파종
마른논직파 – 입하(5/5) ~ 소만(5/21)까지 파종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농가월령(정하교, 1816) : 영농교과서
농기구 관리 · 거름 만들기 및 거름주기 · 논갈이 · 가래질 ·못자리 만들기 · 못자리 관리 · 써레질 · 모내기 · 논매기 ·
수확 · 탈곡 등 이앙재배법에 대해 기술
조선시대 벼농사기술이 체계화 되었음을 보여줌
고문헌에 따른 벼농사 기술
다산 정약용의 상소
: 농가가 다른 일보다 못한 세 가지
“대우가 선비 보다 못하고, 이익이 장사보다 못하고, 편하기가 물품을 만드는 것보다 못하다.”
농사일을 편리하게 하고
농사가 이익이 있게 하고
농민의 지위를 올려야 한다.
3
벼품종 개량 역사
![](https://blog.kakaocdn.net/dn/ZNELF/btr0RQQ7W5L/W11Tpp0gjcOcU436wURik1/img.png)
육종목표의 특징
![](https://blog.kakaocdn.net/dn/bpx7Pj/btr1bloOoVx/eURd8zOf4E3SYxJM5gRWdk/img.png)
벼품종 개량 역사
고문헌에 기록된 벼 품종 수
![](https://blog.kakaocdn.net/dn/BhXhP/btr1bkwEZvv/a2lAVWAtfPyP0oynvwKvv1/img.png)
벼품종 개량 역사
1906년 – 권업모범장 설립(수원), 체계적인 벼 육종의 시작
1910년 이전까지는 재래품종 만이 재배됨
1911~1913, 수집 재래품종 1451종 (수도 : 1259 품종, 밭벼 : 192 품종)
- 현재 보존 품종 수 : 258 품종
- 재래품종의 특징
조생 장간
포기당 이삭수가 적고, 이삭당 이삭당꽃 수가 많으며 까락이 있다
저온발아성과 가뭄견딜성은 강하나 도열병에 약하다
재래품종의 수량성 : 1.5t/ha
벼품종 개량 역사
1910년 장려품종으로 일본 품종 일출과 조신력 등록
- 도입육종의 시대 도래
- 1935, 도입품종의 재배면적 : 전체 82%까지 확대
- 도입품종의 수량성 : 2~2.5t/ha
1915, 최초로 인공교배 시도 (교배육종의 시대)
1933, 최초 교배육성품종 남선 13호 탄생
1962, 농촌진흥청 설립
1970, 육성품종의 재배면적 : 전체 60% 이상
- 육성품종의 수량성 : 3.0~3.5t/ha
벼품종 개량 역사
1971, ‘통일벼’ 육성
- 최초의 인디카 자포니카 교배품종 (원연교배)
※ 근연교배 ?
- 통일형 벼 vs 일반형 벼
- 통일품종의 수량성 : 4.5~5 t/ha
1976, 쌀의 자급
벼품종 개량 역사
세대단축 온실
. 1년 1작 – 신품종 육성에 15 ~ 16년 소요
. 세대단축 온실 이용 : 1년 2작
※ 육종연한 단축
벼품종 개량 역사
1971, ‘통일벼’ 육성
- 생명공학을 이용한 벼품종 육성
※ 꽃가루 육종 = 반수체 육종
- 벼 품종의 육성연한 : 5 ~ 6년
벼품종 개량 역사
1970년대, 다수성 품종 육성
1980년대, 양질미 품종 육성
1990년대, 고품질 복합저항성,
생력기계화(직파적응성), 특수미 품종
벼품종 개량 역사
특수미
특정형질을 강조한 것으로 신형질미라고도 함
예)
- 향미벼 : 구수한 냄새가 나는 벼
- 설갱벼, 백진주 : 식혜, 술 등 발효쌀 식품재료
- 영안벼 : 라이신 함량이 높은 영양쌀
교배양식
교배육종
. 특성이 다른 품종을 교배하여 교배친의 우량 유전자를 한 개체에 조합하거나 또는 유전자들간에
상호작용을 도모하는 육종
교배양식
![](https://blog.kakaocdn.net/dn/bDXIvj/btr07z8Ib5t/hQh5bEvEeSXyKvKcpRckEK/img.png)
단교배
![](https://blog.kakaocdn.net/dn/oo49s/btr07AfxqbE/lUK3b1TKNfDmqpND8kmVSk/img.png)
단교배
. 국내 품종 육성에 가장 많이 이용된 교배 방법 선발
. 국내 최초의 단교배 품종 : 남선 13호
삼원교배
![](https://blog.kakaocdn.net/dn/nhYjC/btr0RO6PlfM/yj2CG8sinkSesUbRDSoRv0/img.png)
. A/B 교배한 F1을 다른 제 3의 C 품종과 교배
. 국내 최초의 3원교배 품종
: 통일벼
여교배
![](https://blog.kakaocdn.net/dn/qHY8n/btr0KF3JntG/ygIKR2EB4oucREYJWl4lCK/img.png)
. A, B 두 품종을 교배한 F1을 양친 중 어느 한 친과 연속교배하는 교배방법
. 통일찰벼
다계교배
![](https://blog.kakaocdn.net/dn/cmmxzr/btr1lAemity/1p1wC7Ff4IxhkJlnk3iW5K/img.png)
. 여러품종을 사용하여 추가교배 하는 것
. 최초품종: 새추청벼, 안성벼
벼품종의 생산성
![](https://blog.kakaocdn.net/dn/qZ016/btr0Oah0r0L/2uGBKON5QGGnvUBCNm4G0k/img.png)
벼품종의 생산성
![](https://blog.kakaocdn.net/dn/V1l0i/btr1dcrCl4Z/y0CsqDK0Kw5cFvKt27b5C1/img.png)
주요벼품종 특성비교
. 단간, 내도복성 증대
. 이삭꽃 수 증가
. 잎면적지수 증가
. 끝잎각도 감소 (직립초형)
▼
“물질생산능력 증가
물질수용능력 향상”
참고 : 롤라의정보공유방
'식용작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7. 벼의 잎, 줄기, 뿌리의 생장 (2) | 2023.03.02 |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6. 볍씨의 발아와 모생장 (1) | 2023.03.01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4. 재배벼의분화와 품종특성 (2) | 2023.02.27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3. 논과 벼농사에 대하여 (1) | 2023.02.25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2. 메 밀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