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작물학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등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2. 밭작물의 생산 및 수급현황

반응형

2장 밭작물의 생산 및 수급현황

 

<목차>

1. 식량 생산환경의 변화와 국내외 재배 현황

2. 밭작물 생산의 중요성

3. 식량수급전망 : 낙관론과 비관론

4. 국제식량위기와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1. 식량생산 환경의 변화와 국내외 재배 현황

1 식량생산 환경변화

지구온난화의 악순환

북극과 고위도 지방의 얼음 감소 → 열 흡수 증가로 온난화 가중

→ 산림 훼손으로 온실가스 흡수 줄어 가뭄확산

* 환경안보 위협하는 지구온난화

 기온 2.5℃ 상승 시 생물 30%이상 멸종 위험

 2~3℃ 상승 시 1,000만 ~ 3,000만 명 기근

 3℃ 이상 상승 시 3,000만 ~ 12,000만 명 기근

2) 세계의 밭작물 재배 현황

- 20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과 교역량은 전년대비 각각 4.3%, 6.9% 증가 전망

- 미국 농업부(USDA)는 20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5억6,210만 톤으로 전년대비 4.3%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전체 곡물 소비량은 25억 3,680만 톤으로 전망되어 생산량이 소비량을 2,540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세계 곡물 교역량은 전년대비 6.9% 증가하여 4억 275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2016/17년도 곡물 재고량은 전년대비 4.2% 증가한 6억 2,730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고, 재고율은 24.7%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 유지될 전망이다

전체 곡물의 수급 동향 및 전망

세계의 곡물 재배면적 및 생산량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 2015)

3)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현황

<식량작물의 재배면적 구성비 비교>

연 도
미 곡
맥 류
두 류
서 류
잡 곡
1998
1,058,927
(79.5)
83,406
(6.2)
120,115
(9.0)
39,385
(2.9)
30,099
(2.3)
1,331,932
(100)
2000
1,072,363
(81.5)
68,435
(5.2)
107,150
(8.1)
45,564
(3.5)
24,680
(1.9)
1,316,504
(100)
2002
1,053,186
(81.1)
80,911
(6.2)
99,214
(7.6)
39,400
(3.0)
27,654
(2.1)
1,298,815
(100)
2007
950,250
(81.8)
55,644
(4.8)
88,120
(7.5)
41,514
(3.6)
27,223
(2.3)
1,161,105
(100)
2011
853,823
(81.0)
42,098
(4.0)
88,186
(8.4)
43,293
(4.1)
26,896
(2.6)
1,054,296
(100)
2014
815,506
(80.5)
37,669
(3.7)
89,166
(8.8)
41,987
(4.1)
28,224
(2.8)
1,012,552
(100)

자료 :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 (단위 : ha, %)

작물별 경지이용 면적

식량작물 생산량 구성비 변화 (2014 농작물생산통계, 2015)

우리나라의 연도별 경지면적, 이용면적과 경지이용율 변화

우리나라의 곡물 수급 동향

2. 밭작물 생산의 중요성.

한국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추이

- 양곡소비량 중 밭작물 생산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 식량으로 증산 가능한 것은 대부분 밭작물이다.

- 사료용 곡물이 매년 증가되기 때문에 월동작물과의 작부체계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밭작물은 단위면적당 소득은 낮지만 대신 안정적인 수입원이 될 수 있다.

- 생력기계화가 가능하고 벼 재배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가 많아 농기계의 효율성을 높이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 밭작물의 생산물에 기능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식량수급전망 : 낙관론과 비관론

- 세계인구가 연간 8,000만~1억씩 증가

- 매년 500만~1,000만 ha 농경지 침식

- 곡물생산량의 증가율 둔화

- 1950~1990 : 2.6%씩 증가

- 1990~2000 : 0.7%씩 증가

- 개발도상국의 육류 소비증가

- 기상변동과 기후변화

- 공업용수와 가정용수의 증가로 지하수고갈

- 곡물의 67%, 육류의 52%의 수출물량이 상위 5개국 집중

- 저투입 친환경농업의 확대

4. 국제식량위기와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연도별 식량자급률 변화

주요 식량작물의 1인당 연간 소비량 추이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1. 국내 생산의 확대 및 제약 : 사료작물의 생산확대

2. 안정적인 곡물수입을 위한 선물거래 확대

3. 체계적인 비축관리제도의 운영

4. 체계적인 해외 농업개발

 

참고 : 롤라의 정보공유방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