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가정생활사

건강가정사, 가정복지사, 가정복지학과 등 한국가정생활사 요점 요약 정리 9. 제례

반응형

제 9 장 제 례


▣ 학습목표
1. . 제례의 역사적 변천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2. . 우리나라 조상숭배의 특징을 알아본다
3. . 조상제사 관행의 종류별 특징을 살펴본다
4. . 제례의 형식과 절차를 알아본다

 

▣ 주요용어
- 사시제 주자가례 외손봉사 윤회봉사 향제사 불천위 제사 신주 지방 상청 사당 진설

 

6.1. 제례
- 제사 :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이 서로 통하고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마당
- 제례 : 제사의 여러 가지 복잡한 절차와 형식

 

1) 제례의 역사적 변천
- 유교식 제례에서 제사의 의미는 부모가 살아 계실 때에 행하던 효행의 연속
- 제사라는 의식을 통하여 가족 친족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친목을 도모
-  제사에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거행하는 기제사 명절날 거행하는 차례 먼 선조들을 대상으로 1
년에 한 차례씩 거행하는 시제 한식이나 추석 때의 성묘 등이 있음 ( ), . 時祭

 

(1) 고려의 불교와 제사
- , 고려의 지배적인 종교인 불교는 왕실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백성들이 의지하였고 정치사회문화
․ ․
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침.
- , , 고려시대에는 사람이 사망하면 시신을 화장한 뒤 뼈를 수습하여 작은 관에 넣어 매장하거나
작은 단지에 담아 절에 보관함.
- ( ) , 제사 또한 사찰에서 올리는 재 의 형태로 행해졌고 조상의 초상화를 그려 절에 영당을 마련 齋
하여 보관하고 주기적으로 재를 올림 , .
- , , , . 자손들은 조상을 위하여 사찰 불탑 불상 불종 등을 건립하고 재산을 사찰에 기부함
불교적 전통이 강한 고려사회는 혈족관념 혈통의식이 우세함 , .

 

(2) 주자가례의 보급과 우리나라식 변형
- , 유교 이념을 표방한 조선 건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주자가례를 보급 권장함으로써 모든 의식들
을 유교식으로 대체함.

- . 주자가례 제사는 실제적인 보급 과정에서 완전하게 적용되지는 못 함 그 결과 유교식 제례 →
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방식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는 조선전기의 독특한 제사형태가 생성됨.
→ 기제를 중요시하고 윤회봉사 외손봉사를 함 , , .

 

(3) 조선전기의 제사의 특징
① 부모제사의 중시
- 사시제 : 주자가례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제사로 사계절의 중간 달 음력2,5,8,11 월 에 4대조
까지의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임.
- , . 제사의 대상을 부모에 한정하고 때로는 형제자매를 배향하는 등 가까운 지친을 중심으로 함
- , 나라의 법으로 일반 백성들은 부모의 기일제만을 허용하고 조부모 이상의 기일제는 법으로 금
지함.
- 생휘일제 : 조선전기에 이루어진 관행으로 돌아가신 부모의 생신 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

 

② 윤회봉사
- 조선 전기 혈족 관념이 재산상속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아들 딸 구분 없이 균등하게 재산을 나
누어주는 균분상속이 행해짐.
- 위의 내용을 보면 담당자가 제수를 마련하고 제상을 차리는 등의 모든 준비를 하며 제사를 신
주가 아니라 지방을 사용함 제사 장소와 제수 담당자가 매번 바뀜 . . →
- . 해남윤씨가에 남아 있는 기제 차례 또한 윤회봉사를 보여주는 사례임 이 문서는 해남윤씨 →
가에 소장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윤인미의 처가인 전주 유씨가의 제사에 관한 규정임.

 

※ 윤회봉사에 관한 기록
* 1545 1 : ( ) . 년 정월 초 일 어머니 기일 때문에 휴가를 받아 집에서 재계하였다
* 1545 5 : . . ( 년 정월 초 일 어머니 기일이다 제사의 차례는 큰누님댁이다 일찍이 휘 큰형의
아들 과 함께 청파동에 갔더니 염 작은형의 아들 도 막 도착해 있었다 바로 지방을 써서 ) ( ) .
제사를 거행하였다 중략 지방을 사르고 제상을 거두고 누님을 모시고 식사를 하면서 . ( ) ,
술도 한잔 하였다 나도 하직하고 나와서 오는 길에 수찬 안구숙의 빈소에 들러 문상하 .
였다.

- , . 위의 내용을 보면 담당자가 제수를 마련하고 제상을 차리는 등의 모든 준비를 함 참석자들은
그 곳에 시간 맞추어 모이며 제사를 신주가 아니라 지방을 써서 행함 , .
③ 외손봉사
- , 딸도 부모의 제사에 참여하고 직접 담당하였으며 딸과 사위가 세상을 떠났을 경우에는 그들의
자식 즉 외손이 외조부모의 제사를 담당함 , .
- , 아들이 없었을 경우에도 양자를 세우는 것보다는 딸외손이 재산을 상속받아 제사를 담당하는 

외손봉사가 널리 행함.

- 16 세기 중엽 신사임당의 친정집에는 아들이 없었는데 이 시기에는 외손봉사가 자연스러웠고
관습에 따라 외손봉사를 함.
- 23 (1528 ) . 중종 년 년 송진사가 딸들에게 주는 유서에도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잘 나타나 있음

※ 외손봉사에 관한 기록
* 7 (1528) 10 10 , ( ) 가정 년 월 초 일 딸들에게 유서를 작성해 주는 일은 억달 서자의 이름 에
게 노비와 전답도 많이 주었으며 친첩 자식으로 봉사하는 것도 편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사 ,
도 알기 힘들다 중략 내가 사망한 후에도 끝내 양자를 세우지 않거든 너희들은 비록 딸 . ( ) ( ),
이라고 나의 골육으로 정리가 매우 중하기 때문에 죽은 아들의 몫으로 준 노비와 전답을 혈 ,
손 외에 다른 사람에게 주지 말고 너희들이 가지고서 우리 부부의 제사를 거행하라 , .

- 위의 사례에서는 딸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면서 자기 부부의 제사를 성심성의껏 지내줄 것을
당부하고 있음 이는 조선후기의 조선사회의 분위기와 상담한 차이를 보임 . .

 

(4) 조선후기 제사 방식의 변화
- 조선시대에 성리학이 통치이념으로 채택됨에 따라 주자가례는 국가적으로 권장하게 되면서 조상
에 대한 제례가 가장 발달함.
- . 우리나라의 조상숭배 의례는 관습적인 제사로 기제와 명절의 차례가 중시됨
- , 현대의 제례는 대부분 유교 예법에 근거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많이 간소화되었고 기독교의 유
입과 일제의 의례준칙 강요 정부가 시행한 가정의례준칙 등 전통 예법의 모습을 변화시킴 , .

 

2) 우리나라 조상숭배의 특징

 

(1) 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관
- : 환갑 의례 큰아들 집에서 사는 부모 세대가 세월이 흐르면 살림권을 아들 부부에게 하나 둘씩
넘기면서 사랑방으로 은퇴하는데 그 의식을 이미함.
- ( ) : . 상청 의 단계 죽었지만 살아 있는 노인 대접을 받는 것 喪廳
- : 1 1 25 4 ( ) 제사 기간 약 백 년 동안 계속되는데 이것은 대를 년으로 잡아 대 고조 가 될 때까지 제
사를 받기 때문임.
- : 4 시제 단계 종손으로부터 대조 이상이 되면 사당의 위패는 장손 집을 떠나 묘에 묻히면서 먼
조상이 되는데 시제 대상이 된 조상은 년에 한 번씩 대개 음력 월이나 월에 1 , 10 3
그 마을의 문중 자손들이 묘에 찾아와 제례를 올림.
- . 한국에서의 죽음은 갑자기 일어나는 단절의 현상이 아니며 환갑부터 준비하는 과정임

 

(2) 조상과 자손과의 관계
- ( ) , ( ) . 산 사람의 집을 양택 이라 하고 죽은 사람의 집을 음택 이라고 함

- . 죽은 조상들이 산 자손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함

 

3) 조상제례의 종류
- 집안 종손의 4대조 이내 조상을 위한 기제
- 설날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
- 기제를 지내지 않는 5대 이상의 조상을 위한 묘제 또는 시제
- ( ) 명문대가에서 지내는 불천위 제사 不遷位

 

(1) 차례
- : . 차례 명절날 집안에 모셔진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로 예서에는 없는 제례임 명절제 또는 속제
라고함.
- . 차례에는 계절에 특이한 음식을 준비함
① 향제자 제사 대상 :
- . 기제사의 대상이 되는 조상보다 더 넓은 범위의 조상이 차례의 대상
- 4 명절 제사는 설날과 추석날 아침에 종손집에서 그 집의 대조까지 해당하는 조상을 대상으
로 지냄.
② 참가 자손
- 8 . 고조를 공동 조상으로 하는 촌 이내의 당내 친족들
③ 재산 분배와 의례 책임자
- . 재산을 받은 만큼 제사의 책임이 있음
- . 재산 상속 양상은 장남 우대이며 차남 이하는 균등 상속임

 

(2) 기제
- : . 기제 기일에 행하는 제사
- : . 기일 조상이 돌아가신 날
① 제사 대상
- : 4 . 기제사의 봉사 대상 각 집의 부계 직계 대조에 해당하는 조상들

 

② 참여 자손
- : 8 10 . 참여 자손 촌이나 촌까지임

 

③ 제사의 사회적 기능
- . 문중원 간의 사회적 결속을 강조하는 의례

 

(3) 시제
- :시제 음력으로 10월의 정하여진 날에 묘소 앞에 제물을 차리고 올리는 묘제
- (세일제 1년에 한 번 거행하는 것 歲一祭
- 성묘 청명 한식 또는 추석에 묘소에 가서 제사를 지내고 산소를 손질하는 것
① 시제 대상 자손과 참가 자손
-  5대조 이상의 조상들

 

②시제의 경제적 부담
- 제수를 묘마다 차리고 특히 시제가 외부에 문중의 위세를 과시하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막대
한 비용이 듬.

 

③ 시제의 사회적 기능
- 훌륭한 조상의 자손임을 증명함으로써 향촌 사회의 지배계층으로 인정받음
- . 한 곳에 대대로 뿌리 내리고 살고 있는 신용 있는 집단이라는 사실을 과시하는 것
- . 문중의 위세를 드러내기 위한 행위

 

(4) 불천위 제사
- : , 불천위 제사 국가에 큰 공을 세웠거나 학덕이 높아서 그 신위를 영구히 사당에 모시라고
나라에서 허락한 조상의 제사를 일컬음.
- . 불천위에 해당되는 조상과 그 배우자는 영구히 매년 기일에 제사를 받음

<참고 제례의 구분>
1. 대상에 따른 구분
① 기제사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 ( ) : . 忌祭祀
② 세일사 또는 라고도 하는데 기제사를 받드는 조상보다 윗대의 조상에 대 ( ) : , 歲日祀 歲祀 時祀
한 제사 음력 월 중 택일하여 년 회 지냄 . 10 1 .
③ 시조제 자기성씨의 시조에 대한 제사 매년 동지에 지냄 ( ) : . . 始祖祭
④ 선조제 시조의 다음 세대인 제 세조 이하 기제사를 받들지 않는 대개 대조 까지 ( ) : 2 5 先祖祭
의 조상인 선조에 대한 제사 매년 입춘에 지냄 . .
⑤ 이제 부모에 대한 제사 계추 음력 월 에 지내던 제사로서 요즘에는 지내지 않음 : . ( 9 ) .
⑥ 상중제사 부모나 조상이 돌아간 날부터 을 벗고 길제를 지낼 때까지 에게 ( ) : 喪中祭祀 服 亡人
지내는 제사로 우제 졸곡 부제 소상 대상 담제 길제 등이 있음 , , , , , , .
2. 장소에 따른 구분
① 사당제례 조상의 위패를 모신 곳에서 지내는 제례 : .
② 정침제례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다가 일정한 제사지낼 곳에서 지내는 제사 : .
③ 묘제 조상의 묘지에서 지내는 제례 : .
3. 시기에 의한 구분
① 망일제례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례로 기제사가 해당됨 : .
② 택일제례 제례를 올릴 날을 지정해서 지내는 제사로 세일사는 음력 월 중으로 정함 : 10 .
③ 명절제례 시조의 제례는 동지에 선조의 제례는 입춘에 사당의 차례는 명절에 지냄 : , , .
4. 시간과 절차 및 복장에 의한 구분
① 기제사 조상이 돌아가신 날 일몰 후에 지냄 축문이 있고 술은 세 번 올리는 삼헌 초헌 아 : . ( ,
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의 절차가 행해짐 이때의 복장은 화려한 것은 피하고 남성 , ), , , .
은 단색 양복이나 도포를 여성은 옥색 천담복이나 수수하고 정결한 복장을 입음 , .
② 절사 정초 추석날 아침에 지내고 축문을 읽지는 않고 삼헌이 아닌 단헌이 행해지며 유식 : , ,
합문 계문의 절차는 생략 이때는 화복을 입어도 무방

4) 제례의 형식과 절차
(1) ( ) 신주와 지방 紙榜
- ( ) : . 신주 신주는 지체가 높은 명문가에서나 볼 수 있고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사용함 神主
- ( ) : ( ) .

지방쓰는법

(2) 사당
- 사당 :신주를 모신 집
- 사당은 기제사를 모시는 4대조까지의 신위를 모심

 

(3) 진설
- ( ) : 제수 제사에 사용하는 음식 祭需
- : . 진설 제사상에 제찬을 배열하는 것

 

(4) 제례의 절차
① 신위봉안 조상의 신위를 제청 에 모심 신주 지방 또는 사진으로 모심 ( ) : ( ) . , . 神位奉安 祭廳
② 강신 조상의 영혼을 맞아들이는 의식 ( ) : . 降神
③ 참신 제주와 제관들은 두 번 절하고 신위에 인사하는 의례임 ( ) : . 參神
④ 초헌 종묘 문묘 등의 제사를 지낼 때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제순 ( ) : · ( ). 初獻 祭順
⑤ 독축 축문을 읽음 ( ) : . 讀祝
⑥ 아헌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 ( ) : . 亞獻
⑦ 종헌 세 번째 잔을 올리는 것 ( ) : . 終獻
⑧ 삽시 숟가락을 메에 꽂고 젖가락을 바르게 겹쳐 놓음 ( ) : . 揷匙
⑨ 합문 제사를 지낼 때에 제사 음식을 물리기 전에 잠시 문을 닫거나 병풍으로 가 ( ) : , 闔門
리어 막는 절차.
⑩ 계문 조선시대 지방장관이 중앙에 상주 하던 일 ( ) : ( ) . 啓門 上奏
⑪ 헌다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메를 세 숟가락 떠서 숭늉에 넣은 뒤 모두 엎드리 ( ) : 獻茶
는 절차.
⑫ 철시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을 덮음 ( ) : . 撤匙
⑬ 사신 신을 보내는 절차로 제주와 일동이 두 번 절함 ( ) : . 辭神
⑭ 철찬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 뒤 숟가락을 거두고 상을 치우는 절차 ( ) : . 徹饌
⑮ 음복 조상이 남겨준 음식을 자손들이 먹는 절차 ( ) : . 飮福

 

6.5. 제례의 미래상
- . 시제는 그 사회적 기능이 약해졌고 앞으로도 더욱 약해질 것
- . 근친들이 같은 마을에서 사는 경우가 드물어짐에 따라 명절 제사는 점차 사라질 전망
- , . 기제사 대상 조상은 감정적 유대가 많은 부모와 장인 장모가 될 것
- . 사위가 처가 부모의 제사에 참여하게 될 것


<확인문제>

1. ? 다음 중 시제에 참여하는 자손들의 최대 범위로 알맞은 것은 (08‘ ) 기출
① 형제자매 ② 당내친
③ 삼족 ④ 문중
2. ? 다음 중 명절제사에 참여하는 자손들의 최대 범위로 알맞은 것은 (08‘ ) 기출
① 형제자매 ② 무복친
③ 당내친 ④ 삼족
3. ? 다음 중 설명이 알맞은 것은 (10‘ ) 기출
① 탕을 놓을 때는 짝이 맞게 짝수로 놓는다.
② 신위를 향해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간주하고 진설한다 , .
③ 축문은 종헌 다음에 읽는다.
④ 유교식 제사에서 여성은 어머니라는 여성 조상의 자격으로 제사를 받는다.
4. 5 1 다음 중 대조 이상 조상에 대하여 년에 한번 묘소 앞에서 후손들이 함께 지내는 제사는?
(08‘ ) 기출
① 재( ) ② 노제
③ 평토제 ④ 시제
5. ? 다음 중 제례의 미래에 대한 예측으로 알맞은 것은 (10‘ ) 기출
① 장자봉사가 강조될 것이다.
② 기제사 대상 조상은 감정적 유대가 많은 부모 장인 장모가 될 것이다 , , .
③ 기제사 보다는 명절 제사가 중시될 것이다.
④ 참여 대상은 부계 및 모계 원친으로 확대될 것이다.

 


정답 : 1.④ 2.③ 3. ②4. ④5.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