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환자와 가족
1. 환자 및 가족의 심리적 반응
1) 환자의 심리적 반응 및 성격
- 자신에게 질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일반적으로 환자의 심리적 반응은 불안, 우울 등을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감정을 처리하기 위해 환자는 특정한 심리적 방어반응을 보임
(1) 환자의 심리적 반응
① 신경성 증상 유발
- 건강할 때는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관심을 갖지 않다가 어떤 질병에 걸리게 되면 지나치게 걱정하고
염려하게 되어 질병과는 전혀 관계없는 신경성 증상이 나타남
② 불 안
- 질병을 하나의 위험상황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환자는 질병진단 및 치료와 예후에 대한 불안 또는
두려움
〇 신체손상으로 자율적으로 움직이던 신체의 기본적인 조화가 깨지는 데서 오는 두려움
〇 낯선 병원 환경과 낯선 의료진, 낯선 환자들 속에서 본인의 운명이 낯선 사람들의 손에 달려 있다는
생각에서 오는 외부인들에 대한 두려움
〇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〇 가족 간의 사랑과 인정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
〇 신체적 손상에 대한 두려움
〇 현재의 병이 과거의 잘못에 대한 벌로 생각되어 죄책감․수치심에 대한 두려움
③ 부 정
- 부정은 감당하지 못할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적 방어기제로써 질병 그 자체를 전적으로 거
부 -
부정은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최초의 심리적 방어기제
④ 건강염려증
- 질환으로 투병생활을 오래한 경우 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지나치게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염려
- 신체장애가 있는 기관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기관의식(organ-awareness).
- 기관의식이 강해지면 그 부분의 자각증이 더 나빠져 건강염려증이 심해지기도 함
⑤ 불신감
- 환자가 심한 불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기의 질병을 자기 멋대로 생각
- 진단이 확정된 후에도 믿지 아니하고 여기저기 찾아다니면서 자기의 질병에 대해 물어보는
경우가 많음
⑥ 퇴 행
- 환자가 되면 상황에 잘 대처하던 방어기제가 약화되어 환자는 그동안 억제되거나 억압되어 왔던 여러
본능적 욕구와 감정적 요구들이 밀려와서 사고․정서․행동이 미성숙한 단계로 되돌아 가는 심리현상이 나
타나게 됨.
⑦ 애정욕구
- 의사나 간호사로부터 관심을 유발시켜 본인의 애정욕구를 충족시키려 하며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병
을 과장하거나 합리화시켜 의사나 간호사, 가족 등의 관심을 끌려고 함
⑧ 우울증
- 질환으로 인한 팔․다리와 같은 신체일부분을 상실하거나 신체 기관의 기능 손상, 외모나 자존심의 상
실 등
- 실제보다 과장되게 생각하여 질병에 대한 지나친 걱정
⑨ 공격성
- 환자는 보통사람보다 신경이 예민해지기 때문에 조그마한 일에도 불만을 표시하고 가족, 의사, 간호사
들에게 공격적 태도
- 건강한 사람에 대해서는 심한 질투
- 질병에 대한 죄책감과 자신에 대한 불만이 가족이나 의사에게 투사되어 공격적
⑩ 죄책감
- 병의 원인을 과거의 죄에 대한 처벌로 여겨 이에 대한 반성과 죄책감
- 심할 때는 죄책감 그 자체가 병을 유발
(2) 환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반응
① 구강기적 성격(의존적 성격)
- 신체질환을 통해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타인에게서 끊임없는 관심과 간호를 받기 원하던 욕망이 솟아
올라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 결단력이 부족함으로 상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줌으로써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
- 고립감을 느끼게 되면 알코올이나 약물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
② 피학적 성격
- 신체적 질병을 자신이 죄책감에서 헤어나오기 위한 속죄의 과정에 있다고 생각
- 질병으로 누워 있어 편하다는 생각에 죄책감이 더욱 커지며 이에 대한 반응으로 겸손과 사양을 보이
며 타인의 동정을 사려함
- 환자가 겪는 고통을 인정해 주고 참을성을 칭찬해 주면서, 의학적 치료 외에 타인을 위해 일할 수 있
는 역할을 주는 것이 좋음.
③ 편집적 성격
- 의심이 많기 때문에 의료진을 믿지 못하는 경향
- 병의 원인을 무조건 타인에게 전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 가급적 논쟁을 피하고 적정거리를 유지
④ 강박적 성격
- 자제력이 강하고 질서를 잘 지키는 사람
- 환자로서의 의무에 충실하며 이론적으로도 많이 알고 있음
- 순차적인 치료 절차로 차근차근 진행해 나가면서 환자에게 그때 그때에 상황과 이유를 잘 설명해 주
는 것이 필요
- 환자의 성격이 완고하며 스스로 결정한 것에 충실하므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여지를 주는 것이
좋음
⑤ 히스테리적 성격
- 신체질환은 개인적 결함, 매력상실로 주변의 관심을 받지 못할 것으로 여겨져 인생패배로 생각하며,
이와 같은 결과는 어려서부터 겁내오던 응징의 결과라고 생각
- 불안에서 벗어나고자 중증의 상황에서도 병 자체보다 남들의 시선에 더 신경
- 매력과 용기가 있다고 칭찬해주는 동시에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
⑥ 자기애적 성격
- 자신이 완벽하다는 우월감
- 질병에 대한 두려움은 지나치게 방어적이며 과대망상 상태
- 의료진이 자신감을 나타내 보이면서 조심스럽게 접근
⑦ 분열형 성격
- 어린 시절의 실망․상실의 고통이 질병으로 인해 재현될까봐 몹시 두려워함
- 매사에 무관심해 보이는 이들은 실로 예민하고 유약한 성격이기 때문에 강압적이기 보다는 부드럽게
대하고 심한 상태가 아니라면 이들에 대해 방관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도 한 방법
2) 가족의 심리적 반응
(1) 가족의 심리적 반응단계
① 초기의 충격과 부정
② 불안과 공포
③ 죄책감과 책임감
④ 분노와 적대
⑤ 우 울
⑥ 수 용
가족의 반응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환자가 가정에서의 역할이 어떠하였는가? 즉, 가장으로서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였을 때 분노와 적대
의 감정은 더 커질 수 있다.
- 질병의 유형에 따라 가족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급성질환이냐, 만성질환이냐, 중병이냐 등이
다. 신체부위에 따른 가족의 심리적 반응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2) 가족의 반응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이 지나치게 불안을 갖거나 의식을 하게 되면 그것이 환자에게 투사되어 환자의 불안을 증대시키
거나 지나친 의존심으로 퇴행하게 하여 질병치료에 악영향
- 만성질환이나 임종에 이르는 병, 그리고 노인인 경우 가족이 질병에 대하여 중도포기하거나,
환자에 대한 관심의 소홀함이 환자에게 있어 불안감이나 고독감, 가족의 상실, 나아가서는 분노,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
- 배우자나 자녀의 신체적 손상이나 기능마비를 부정하거나 현실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게 되면 의료인과
환자의 치료적 관계에 대한 저항과 환자의 비현실적인 기대, 그리고 치료에 대한 반항 등으로 어려움
- 간질환자에 대한 편견, 화상환자나 수족절단 환자들의 괴로워하는 모습과 사회적으로 불구에 대한 반
응 등 : 가족이 먼저 수용하고 현실적인 안심과 계속적인 심리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보조적인 치료자가
되어야 함
- 가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환자의 치료과정이 치료에 중대한 몫을 차지하게 된다.
2. 환자의 특성에 따른 심리적 반응
1) 만성환자의 심리적 반응
- 만성류마티스성 관절염, 파킨슨씨 병에 의한 감각이상, 신체적 불구와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폐기
종 등의 만성질환들은 대부분이 환자의 일상생활을 제한함으로 환자에게는 특수한 심리적 변화와 욕구
가 발생
- 일반적으로 자신의 병이 만성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정신적인 큰 혼란을 갖게 되고
일상생활의 재구성이 필요
- 우울, 부정, 무기력, 열등의식의 과잉보상, 쾌활, 허위성, 자기 연민으로 무기력한 어린아이처럼 되거
나 제한된 생활에 적응이 어려워 자살기도
- 자신의 처지에 대한 분노를 느껴 이를 자신을 돌봐주는 주위 사람이나 가족에게 공격적
2) 수술환자의 심리적 반응
- 수술은 작든 크든 우리 몸의 어떤 부위의 형태를 변형시킬 뿐 아니라 기능에 있어서도 변화
- 수술을 받기로 예정된 환자가 겉으로 들어내는 심리적인 반응은 자신을 아무렇지도 않게 수술을 받을
수 있다고 철저하게 태연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심리적 공황에 빠지거나 현저한 정신병적 상태에 빠지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다양
- 수술을 받게 되는 환자는 근본적으로 불안
- 수술환자의 3가지의 심리적 반응
〇 부정 : 질병자체를 부정하기도 하고 두려움을 부정
〇 우울 : 자신의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방어하지 못하면 우울(depression)에 빠지기도 한다.
즉 자신이 병에 걸렸다는 사실과 그 사실에 대한 두려움을 견디지 못하는 자신의 무력감에 우울증이 나
타난다.
〇 자심감의 결여 : 우울이 더욱 심하게 되면 때로는 자신의 의사를 전혀 표현하지 않고 모
든 것을 남이 하는 대로 맡기고 내버려 둔다. 더욱 심한 경우는 대수롭지 않은 수술임에도 불
구하고 자기인생을 마무리하려는 태도를 보이거나 자신의 과거일을 후회하고 심한 죄책감에
빠지게 된다.
3) 장기이식환자의 심리적 반응
- 장기이식의 경우 수혜자(환자), 제공자, 가족 간의 심리적 변화
- 가족의 경우 가족원 중 누가 장기이식 제공자가 되어야 한다면?
- 안도감과 죄책감의 양가감정
- 제공자의 심리적 반응
① 자신의 생동하는 기관을 포기해야만 한다는 것
② 대수술을 앞두고 죽을지도 모른다는 위험부담
③ 남은 한쪽 신장이 병든 상상에 따른 두려움
④ 수령자에 대한 무의식적인 원한
⑤ 수술 후 우울증
⑥ 제공자와 수령자 사이에 생기는 상호 적대적 의존관계
- 수령자의 심리적 반응
〇 제공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환자는 절박한 심정으로 가족에게 의존하지만, 한편으로는
거절당할 것이 두려워 주위의 눈치만 살피게 됨
〇 제공자가 결정되면 희망, 기쁨의 느낌과 동시에 장기 투석에 대한 고통으로부터 해방감
〇 이식수술 후에 혹 장기거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4) 절단환자의 심리적 반응
- 신체상의 상실에 대한 심리적 반응단계 : 둔마기->애망기->혼란기->재건기
- 환상지 ․ 환상통
〇 절단수술 후 환자들은 절단한 기관이 아직 그대로 있는 것처럼 느끼는 환상감각의 현상
〇 절단한 부위가 그대로 붙어 있는 것으로 느끼는 환상지, 그 환상지가 아파오는 것을 환상통
〇 환상지 현상은 신체의 일부를 상실한 후에도 계속되는 개인의 신체상 때문에 생김
5) 임종환자의 심리적 반응
- 죽음의 단계 : 퀴블러 로스(Kübler-Ross, 1969)
① 부정의 시기 : 회복 불가능한 불치병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은 후에도 이를 인정하려들지 않으며 평
상시처럼 행동
② 분노의 시기 : 자신의 병 증세가 구체화되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경우 치료진이나
가족들에게 이를 표출
③ 타협의 시기 : 자신의 병에 대해서 인정을 하나, 아직 처리해야 할 과업을 끝낼 때까지만
살 수 있게 해달라고 타협
④ 우울의 시기 : 죽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이 상실해야 할 여러가지에 대해 애도하고 죽게
되는 자신에 대해서도 애도하는 시기
⑤ 수용의 시기 : 자신의 회복을 위한 노력들이 무의미함을 알고 체념하는 시기로 어떤 ‘ 느
낀 감정’ 을 표현할 단계를 이미 초월한 단계
- 임종과정에서 일어나는 두려움
〇 죽음이 미지라는 두려움
〇 고독에 대한 두려움
〇 가족과 친지를 잃는다는 두려움
〇 신체를 잃는다는 두려움
〇 자기 지배 능력을 상실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〇 동통에 대한 두려움
〇 주체성 상실에 대한 두려움
〇 퇴행에 대한 두려움
3. 환자의 사회· 경제적 문제
건강한 한 가정에 갑자기 환자가 생기게 되면 환자 자신은 물론 그 가족들에게도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
래
1) 환자의 사회적 문제
- 환자의 직장문제
〇 만약 환자가 가장일 경우 환자 가족이 가장 먼저 경험하게 되는 것은 직장에 대한 문제
〇 실업에 대한 불안
〇 직업 변경
〇 만성적인 병이나 불치의 병으로 인해 다시는 노동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
〇 사회복지사는 가족구성원들의 심리적 부담감을 경감시켜 주고, 이 가정이 필요로 하는 자원 연결
- 환자의 사회적응 문제
〇 환자가 치료를 받고 신체적으로 회복되어 퇴원을 하려고 할 때에는 가족이나 직장 동료직원, 기타
사회관계면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심리적․정서적 태세를 어느 정도 갖춘 후에 퇴원
〇 좌절감과 소외감, 열등의식 등을 갖게 되어 가정과 직장, 그리고 근린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불화․불안․불안정상태 등에 놓여 질병으로 인한 심리적․정서적 장애문제에 직면
〇 물리적․정신적 조건들이 생활환경의 문제
〇 직장환경
2) 환자의 경제적 문제
- 치료비와 요양비의 조달문제
- 가정의 생활비와 자녀교육비
- 조달을 위한 자원활용이 필요, 경제적 지원
'의료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공무원 등 의료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9. 실천기술이론 1 (0) | 2022.08.02 |
---|---|
사회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공무원 등 의료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8. 의료사회사업의 실천모델 (0) | 2022.08.01 |
사회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공무원 등 의료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6. 의료급여제도 (0) | 2022.07.31 |
사회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공무원 등 의료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5. 국민건강보험제도 (0) | 2022.07.31 |
사회복지사 1급 및 복지학과, 공무원 등 의료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4. 의료사회사업의 역사적 발전과정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