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번식>
분 주 | <모주에서 발생하는 흡지를 뿌리가 달린채로 분리하여 번식> ⇨ 박하, 모시풀, 작약, 나무딸기, 수구리, 석류, 닥나무, 머위, 토당귀, 아스파라거스 |
취 목 | <지조를 모체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발근시킨 다음 절리해서 독립적으로 번식> ① 성토법 : 가지를 굽히지 않고 선채로 밑동에 흙을 긁어모아 발근 ② 언지법(휘묻이) - 보통법 : 가지를 보통으로 휘어서 일부를 흙속에 묻는 방법 ⇨ 수구리, 포도, 양앵두, 자두 - 선취법 : 가지의 선단부를 휘어서 묻는 방법 ⇨ 나무딸기 - 파상취법 : 긴 가지를 파상으로 휘어서 하곡부마다 흙을 덮어 한 가지에 여러 개 취목 ⇨ 포도 - 당목취법 : 가지를 수평으로 묻고, 각 마디에서 발생하는 새 가지를 발근 ⇨ 포도, 양앵두, 자두, 나무딸기 ③ 고취법 : 지조를 묻을 수 없는 경우에 높은 곳에서 발근시키는 방법, 발근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미리 절상, 환상박피 * 고무나무와 같은 관상수목 |
삽 목 | <모체에서 분리한 영양체의 일부를 알맞은 곳에 심어서 발근시켜 독립개체로 번식> * 삽목에 이용하는 부위별 ① 엽삽 : 베고니아, 펠라고늄 ② 근삽 : 땅두릅, 자두, 앵두, 사과, 감, 오동 등 ③ 지삽 : 포도, 무화과 * 지삽은 가지의 이용에 따라 ① 녹지삽 : 카네이션, 펠라고늄, 피튜니어 ② 경지삽 : 포도, 무화과 ③ 신초삽 : 인과류, 핵과류, 감귤류 ④ 단아삽 : 포도에서 눈 하나만을 가진 줄기 ☞ 삽목 후 발근에는 IAA, NAA 등 Auxin류 생장조절제가 촉진효과가 있다. |
삽수이용 | 삽수의 이용은 고구마가 대표적이었지만 근래 감자의 삽목묘 이용이 증가 * 고구마의 인위개화의 방법은 나팔꽃 대목에 접수하여 괴경형성이 되지 않도록 하여 C/N율을 높임으로서 화아형성 및 개화하도록 유도한다. |
☞ 접목 영양번식은 결과연령이 단축되나 수목의 수명도 단축한다는 단점도 있다.
* 공정육묘 특징 : 키 작고, C/N율 상승, T/R율 저하, 뿌리발달 좋음
* 인공영양번식에서 발근 및 활착을 촉진하는 처리
① 황화(etiolation) : 엽록소 형성을 억제하고 황화시키면 이 부분에서는 발근이 촉진
② 생장호르몬 처리 ③ 자당액 침지 ④ 환상박피 ⑤ 증산경감제
⑥ 과망간산칼리액 처리 : 0.1~1.0%의 과망간산칼리(KMnO4) 용액에 삽수의 기부를 24시간 정도 침지하면
소독의 효과뿐만 아니라 발근을 조장한다.
* 박과 채소류의 접목
장 점 | 단 점 |
① 토양전염병 발생을 억제한다. (덩굴쪼김병 : 수박, 오이, 참외) ② 고온, 저온 등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대 (수박, 오이, 참외) ③ 흡비력이 강해진다. (수박, 오이, 참외) ④ 과습에 잘 견딘다. (수박, 오이, 참외) ⑤ 과실의 품질이 우수해진다. (수박, 멜론) |
① 질소 과흡수의 우려가 있다. ② 기형과가 많이 발생한다. ③ 당도가 떨어진다. ④ 흰가루병에 약하다. ⑤ 접목묘 생산에 노력 경비가 증가된다. |
* 시설원예의 토양 특성
① 염류 집적이 많다. ② 유기물 함량이 낮다. ③ 치환성 염기의 함량이 높다. ④ 유효인산의 함량이 높다.
온 도 | 일교차가 크고, 위치별 분포가 다르며, 지온이 높음. |
광 선 | 광질이 다르고, 광량이 감소하며, 광분포가 불균일 함. |
공 기 | 탄산가스가 부족하고, 유해가스가 집적되며, 바람이 없음. |
수 분 | 토양이 건조해지기 쉽고, 공중습도가 높으며, 인공관수를 함. |
토 양 | 염류 농도가 높고, 토양물리성이 나쁘며, 연작장해가 있음 |
* 온상 재료
주재료 - 양열재료 | 볏집, 건초, 두엄 등 탄수화물 | C/N율 | 60 ~ 80 |
촉진재료 - 발열재료 | 겨, 깻묵, 툇거름, 요소, 황산암모늄 등 질소분 | 20 ~ 30 | |
보조재료 - 지속재료 | 낙엽 - 부패가 더딘 발열 지속제 | 25 |
* 발열에 적당한 C/N율 : 20~30 / 수분함량 : 전체의 60~70% ☞ 발열재료는 건물중의 1.5~2.5배 정도가 발열이 양호
* 작휴법 : 이랑 만들기
평휴법 | • 이랑을 평평하게 이랑과 고랑의 높이가 같게 하는 방식 • 건조해와 습해가 동시 완화 * 채소, 밭벼에서 실시 |
휴립법 | • 이랑을 세워서 고랑이 낮게 하는 방식 - 휴립구파법 :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 * 맥류의 한해, 동해 방지, 감자의 발아촉진 및 배토 - 휴립휴파법 :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 ☞ 잡초발생이 적지 않다. * 고구마는 높게 / 조, 콩은 비교적 낮게 - 벼의 이랑재배 : 습답이나 간척지에서 재배하는 방식 ☞ 잡초의 발생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음. |
성휴법 | • 이랑을 보통보다 넓고 크게 만드는 방식 • 중부지에서 맥후작 콩의 재배에 이용한다. |
* 맥류 답압 후 변화
① 생장점 전류량 감소 ② 생장점 C/N율 저하 ③ 생식 생장율 억제 ④ 조직 수분함량 감소
* 추경의 유리한점 : ① 토양모재 풍화 ② 유기물 분해 증대 ③ 잡초 해충방제 ④ 정지작업유리
* 겨울철 휴간기의 추경
① 토양이 습하고 유기물의 함량이 많을 때(유리한 경우)
- 유기물의 분해촉진, 토양통기 조장, 충해경감, 토양이 부드러워짐, 춘파맥류나 건답직파 할 때 실시
② 사질토양이며 겨울에 비가 많이 올 때(불리한 경우) : 토양비료 성분의 용탈 및 유실 조장
* 심경 : 수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20cm 이상의 심경
⇨ 심경한 상태로 작물을 재배하면 당해는 생육이 불량하고 수량이 감소한다
☞ 논의 아래층에 사력층이 있어서 누수하기 쉬운 경우에는 심경을 하지 말아야 한다.
* 가식의 필요성
① 묘상의 절약 ② 재해의 방지 ③ 활착의 증진 : 가식을 할 때 단근이 되면 가식 중 밑동 가까이에 세근이 밀생하여 정식 후에 활착이 좋아진다.
* 경화(모종 굳히기) 이유 : 저온, 건조 등의 자연환경에 대한 저항성 증대, 흡수력 증대, 착근이 빨라짐, 엽육이 두꺼워짐,
건물량 증가, 뿌리의 발달 촉진, 내한성 증가, 왁스피복 증가
☞ 가식의 목적은 모종의 웃자람 방지, 이식성 증대, 불량 모종 도태 및 균일한 모종 생산이다.
☞ 모종의 자리바꿈 이유는 마지막 가식으로부터 정식할 때까지의 기간이 길면 모종이 너무 커질 뿐만 아니라 뿌리가
길게 뻗어나가 정식 할 때 뿌리가 많이 끊어져서 활착이 더디기 때문이다.
* 이식의 장 · 단점
장 점 | ① 생육촉진 및 수량증대 ② 토지이용의 고도화 ③ 숙기 단축 ④ 활착의 증진 * 육묘 중에 가식을 하면 단근이 되어 새로운 세근이 밀생해서 근군이 충실해지므로 정식시에 활착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 화본과, 목초류, 고추, 두류 등은 단근의 효과가 있으며 직근류는 문제 |
단 점 | ① 무, 당근, 우엉 등의 직근류는 이식시 뿌리가 다치면 상품성 저하 ② 수박, 참외, 결구배추 등은 뿌리가 절단되면 발육에 지장 ③ 벼의 한랭지 이앙재배는 생육이 늦고 임실이 불량함 |
* 친환경 관련 농업의 종류
자연농업 | 지력을 토대로 자연의 물질순환 원리에 따르는 농업 |
생태농업 | 지역폐쇄 시스템에서 작물 양분과 병해충 종합관리 기술을 이용하여 생태계 균형유지에 중점 |
유기농업 |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원래 흙을 증시한 자연에서 안전한 농작물을 수확 * 유기농 산물은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저투입· 지속적 농업 |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고 영원히 유지할 수 있는 농업으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농업이다. |
정밀농업 | 한 포장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는 농업 |
☞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은 민간인증기관에서도 실시한다.
* 생력 기계화 재배의 전제조건 : ① 경지정리 ② 집단재배 ③ 공동재배 ④ 잉여노동력의 수익화
⑤ 제초제의 시용 ⑥ 적응 재배체계의 확립
<대상 작물별 시비원리>
① 종자를 수확하는 작물 : 영양생장기 N, 생식생장기 P, K
② 과실을 수확하는 작물 : P, K ③ 잎을 수확하는 작물 : N
④ 줄기를 수확하는 작물 : 아스파라거스, 토당귀 등과 연화재배하는 작물은 전년의 저장양분에 의해서 연화기의
생장이 이루어지므로 전년에 충분히 시비
⑤ 꽃을 수확하는 작물 : 호프, 화초처럼 꽃을 수확하는 작물은 꽃망울이 생길 무렵 질소의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하면
개화와 발육이 양호
* 비료의 성질 구분
화학적 반응 |
산성비료 | 과인산석회, 중과인산석회 | * 화학 산성 - 생리 중성 과- * 화학 중성 - 생리 산성 황산-, 염화- * 화학 생리 중성 요소, 질산 * 화학 생리 염기 용성인비 |
중성비료 | 황산암모니아, 질산암모니아, 황산칼리, 염화칼리,콩깻묵, 어박, 요소, 염화암모늄 등 | ||
염기성비료 | 재, 석회질소, 용성인비, 토머스인비 | ||
생리적 반응 | 산성비료 | 황산암모니아, 황산칼리, 염화칼리, 염화암모늄 | |
중성비료 | 질산암모니아, 요소, 과인산석회, 중과인산석회 | ||
염기성비료 | 석회질소, 용성인비, 재, 칠레초석, 어박, 토머스인비, 퇴비, 구비 |
* 비료별 성분
질소 성분 |
요소 | 질산암모늄 | 염화암모늄 | 황산암모늄 | 석회질소 | 초석 | 인산암모니아 |
46% | 33% | 25% | 21% | 21% | 20% | 11% |
인산 성분 |
인산암모늄 | 중과린산석회 | 과린산석회 | 용성인비 | 토머스인비 |
48% | 46% | 20% | 17~21% | 16% |
칼리 성분 |
염화가리 |
황산가리 |
칼슘성분 |
생석회 |
소석회 | 석회질소 |
탄산석회 |
60% | 48~50% | 80% | 60% | 60% | 45~50% |
* 배합비료의 불리한 요인
① 질산태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비료에 과인산석회와 같은 산성비료를 혼합하면 질산은 기체로 되어 휘산한다.
② 암모니아태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비료에 석회와 같은 알칼리성 비료를 혼합하여 암모니아 기체로 변하여 휘산한다.
③ 질산태 질소를 유기질 비료와 혼합하면 저장중 또는 시용후에 질산이 환원되어 소실된다.
④ 과인산석회와 같은 수용성 인산이 주성분인 비료에 Ca, Al, Fe등이 포함된 알칼리성 비료를 혼합하면
인산이 물에 용해되지 않아 불용성이 된다.
⑤ 과인산석회와 같은 석회염을 함유하고 있는 비료에 염화칼슘과 같은 염화물을 배합하면 흡습성이 높아져서
액체로 되거나 굳어지기 쉽다.
<작물의 내적 균형과 식물생장 조절제 및 방사성 동위원소의 재배적 이용>
* T/R율의 증가 및 감소
증 가 | 감 소 |
① 저장기관 수확목적 작물의 파종 · 이식이 늦어지는 경우 ② 일조부족 하거나 토양내 수분이 많은 경우 ☞ 일사량이 적어지면 탄수화물 축적이 줄어 지상부의 생장이 뿌리의 생장을 억제 ③ 질소 다량 시비시 ☞ 단백질 합성이 왕성 / 탄수화물이 적어져서 지하부로 전류가 상대적 감소 ⇨ 뿌리의 생장 더욱 저하 ④ 토양통기가 불량하여 뿌리의 호기호흡이 저해 시⑤ 가지의 신장 중에 가지치기 할 때⑥ 장일조건에서 지상부의 생육이 촉진☞ 일반적으로 단일조건에서 지하부가 비대 |
① 토양 함수량이 감소 ☞ 뿌리의 생장보다 지상부의 생장이 더욱 저해 ② 가지의 신장 후에 가지치기 할 때 |
* 식물생장조절제의 종류
* 중경 : 건조할 때의 중경은 되도록 얕고 곱게 해야 한다. 작물이 무성해서 잡초의 발생이 적어지고, 또 단근의 영향이 크게
나타날 시기가 되면 중경을 피하는 것이 좋다. 중경횟수는 토양조건, 생육조건, 생육습성, 잡초발생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로 2~3회 실시하는 것이 좋다.
초기의 중경은 단근의 우려가 작으므로 대체로 깊게 하고, 후기의 중경은 단근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대체로 얕게 한다.
* 시기별 제초제 처리시기
- 파종 전 처리 : 경기하기 전에 포장에 paprquat등의 제초제를 살포
- 파종 후, 출아전 처리 : 파종 후 3일 내에 simazine, alachlor 등의 제초제를 토양 전면에 살포한다.
- 생육초기처리 또는 출아후 처리 : 잡초의 발생이 심할 때에는
생육 초기에도 2,4-D, bentazon 등의 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한다.
* 잡초의 적응 토양산도 : 경지잡초의 출현반응은 알칼리성보다 산성 쪽에서 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논 잡초는 산성토양에 잘 적응하고
밭 잡초는 중성 내지 알칼리성 토양에 잘 적응한다.
* 시토키닌은 옥신과 함께 존재해야 그 효력을 발휘하는데 인돌비가 IAA+BA의 혼합물로 이용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 지베렐린은 옥신과 마찬가지로 토마토, 오이, 포도나무 등의 단위결과를 유기하는데 옥신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가 있다.
* 옥신은 뿌리와 줄기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옥신의 농도는 적어도 10만배 정도의 차이가 있어 뿌리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농도는 줄기생장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고, 줄기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농도에서는 뿌리생장이 오히려 억제당한다.
<벼 관련 병해 기출>
① 최근 병해 중 다비밀식, 통풍불량, 고온다습, 구름무늬병반이 발생 : 잎짚무늬마름병(문고병)
※ 잎짚무늬마름병의 발생이 심하거나 가을멸구의 발생이 많으면 줄기가 약해져서 도복이 심해진다.
② 화강암계 유래한 사질, 누수답, 노후화답, 특수성분결핍 : 깨씨무늬병
③ 벼에 가장 많이 발생, 전생육기간 피해크고 저온다습, 고동색 : 도열병 ☞ 태풍후 방제 필요 : 이삭 도열병
④ 침수 피해 후 방제, 세균성, 수인성, 하얗게 위조현상 발생 : 흰빛 잎마름병(백엽고병)
⑤ 고온·건조, 충매전염, 종자소독방제 못함, 벼의 AIDS : 바이러스병
잡초의 방제법 | |
예방적 방제법 | 다른 곳에서 생산된 잡초의 종자나 영양체가 경작지에 유입되지 않도록 수행 |
생태적 ․ 경종적방제법 | • 윤작, 답전윤환재배, 2모작, 육묘이식, 춘경, 추경, 경운, 정지, 피복작물재배 등은 모두 잡초의 경합력을 떨어뜨린다. • 잡초의 대부분은 광발아성 종자이므로 지표면을 피복하여 광을 차단하여 잡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물리적 방제법 | • 물리적인 힘을 가해 억제 및 사멸 - 손제초, 경운, 농기구 이용 중경제초 및 배토, 예취, 피복, 소각, 소토, 침수처리 |
생물적 방제법 | ① 곤충방제 ② 식물병원균 방제 ③ 어패류 방제 ④ 상호대립 억제작용성의 식물 이용 ⑤ 동물이용 방제 |
화학적 방제법 | •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화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 장점으로는 적용범위가 넓고 제초효과가 커서 비교적 완전방제가 가능, 방제효과가 상당한 기간까지 지속적이고, 값이 저렴하며, 사용하기 간편하여 무한히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종합적 방제법 | 몇 종류의 방제법을 상호 협력적인 조건 하에서 연계성 있게 수행해 가는 방법으로 화학적 방제에만 의존하지 않고 예방적, 경종적, 물리적, 기계적, 생물적 방제법 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이용하면서 체계적으로 병충해를 방제한다는 이론 |
병충해 방제법 | |
경종적 방제 | ① 토지의 선정 : 고랭지는 감자의 바이러스병 발생이 적어서 채종지로 알맞다. 통풍이 나쁘고 오수가 침입하는 못자리에는 충해가 많다. ② 품종의 선택 * 남부지방에서 조식재배를 할 때에는 벼에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품종 선택 * 밤의 혹벌은 저항성 품종의 선택, 포도의 필록셀라는 저항성 대목의 접목으로 방지 ③ 종자의 선택 : 벼의 선충심고병이나 밀의 곡실선충병은 종자전염을 하므로 종자소독으로 방제 ④ 윤작 : 기지의 원인이 되는 토양전염성 병해충은 윤작에 의해 경감 ⑤ 재배양식 변경 : 벼는 보온육묘를 하면 묘부패병이 방제되고 직파재배를 하면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경감 ⑥ 혼식 : 팥의 심식충은 논두렁에 콩과 혼식하면 피해가 적어진다. 밭벼 사이에 심은 무에는 충해가 적다. ⑦ 생육시기의 조절 : 벼를 조식재배하면 도열병이 경감되고, 만식재배하면 이화명나방이 경감된다. ⑧ 시비법의 개선 ⑨ 정결한 관리 ⑩ 수확물 건조 : 곡물의 수분함량을 12% 이하로 건조하면 바구미 등 병충해의 피해가 방지된다. ⑪ 중간기주식물의 교배 : 배나무의 붉은별 무늬병은 주변에 중간기주식물인 향나무를 제거함으로써 방제된다. |
생물학적 방제법 | ① 기생성 곤충 : 침파리, 고치벌, 맵시벌, 꼬마벌 등의 기생성 곤충은 나비목(인시목) 해충에 기생 ② 포식성 곤충 : 풀잠자리, 꽃등에, 됫박벌레 등은 진딧물을 잡아먹고, 딱정벌레는 각종 해충을 잡아먹는다. ③ 병원 미생물 ④ 길항 미생물 |
물리적 방제법 | ① 포살 및 채란 ② 소각 ③ 흙태우기 ④ 담수 ⑤ 차단 ⑥ 유살 ⑦ 온도처리 ※ 담수에 의한 방제법은 밭토양을 장기간 담수해 두면 토양전염성의 병해충을 구제할 수 있다. |
화학적 방제법 | ① 살균제 ② 살충제 ③ 유인제 ④ 기피제 ⑤ 화학불임제 |
법적 방제법 | 식물방역법을 제정해서 식물검역을 실시하여 위험한 병균이나 해충의 국내 침입과 전파를 방지함으로써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법이다. |
종합적 방제법 | 여러 가지 방제수단을 서로 방해되지 않게 유기적으로 조화를 유지하면서 사용한다는 점과 병해충의 밀도를 경제적 피해밀도 이하로 두면 전멸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 두 가지에 중심을 두고 있다. 천적과 유용생물을 보존하고 환경보호의 목적도 달성하기 위한 개념이다. |
* 곡물의 건조와 관련
방 제 |
곡물 수분함량 12% - 병해충 피해방지 |
건 조 |
쌀 수분함량 15~16% 적정 쌀 수분함량 12~13% - 저장성 좋으나 식미가 낮아진다. 쌀 수분함량 16~17% - 도정효율, 식미 좋으나 변질되기 쉽다. |
안전 저장 |
곡물가해 미생물은 쌀 수분함량 15% 이상에서 급속번식 쌀 수분함량 13%에서 번식 억제 쌀 수분함량 11% 이하에서 사멸 |
* 곡물의 포장재 : PE(polyethylene) 포장은 지대포장에 비하여 수분손실을 방지하여 중량감소는 방지할 수 있으나
산패를 촉진시키는 단점이 있다.
* 건조기술
- 곡물을 열풍건조 할 때 알맞은 건조온도는 45℃ 정도이다.
- 건조기의 승온 조건은 시간당 1℃가 적당하다. 건조속도는 시간당 수분감소율 1%정도가 알맞다.
- 쌀의 경우 수분함량은 15~16%가 되도록 말려야 한다.
수분함량이 12~13%로 낮으면 저장에는 좋으나 식미가 낮아진다.
수분을 16~17%로 건조하면 도정효율과 식미는 좋으나 변질되기 쉽다.
* 낙과 방지법
① 수분의 매개 ② 방한 ③ 합리적 시비
④ 건조 및 과습의 방지 ⑤ 수광태세의 향상 ⑥ 방풍시설
⑦ 병충해 방제 ⑧ 생장조절제의 살포
* 수분의 매개 : 과수재배시 우량한 화분의 공급을 위한 수분수의 적당한 혼식 비율은 20~30%
* 단위결과의 유도 : 수박은 3배체나 상호전좌를 이용해서 씨 없는 수박을 만들 수 있다.
* 수해의 종류
① 수해 : 홍수 등으로 작물이 장시간 물에 잠겨서 받는 피해
② 침수(浸水) : 식물체가 완전히 물속에 잠기지는 않으나 정상수보다 많을 때
③ 관수(冠水) : 식물체가 완전히 물속에 잠기는 침수
☞ 침, 관수 피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침관수저항성이라고 한다.
* 광스트레스
- 약광에서 서서히 녹화시키거나 빛이 강해도 온도가 높으면 카로티노이드가 엽록소를 보호하여 피해를 받지 않는다.
- 엽록소가 일단 형성된 후에는 온도가 낮으면 높을 때보다 엽록소가 더 안정된다.
* 작물의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① 저항성 : 스트레스를 주더라도 작물이 이를 극복하여 장해를 받지 않는 특성
↳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회피성
↳ 스트레스를 받지만 이를 감소시키거나 견디어 장해를 받지 않는 내성
② 순화 또는 경화 : 큰 스트레스가 오기 전에 미리 정도가 낮은 스트레스에 노출시키면 저항성 증가
③ 적응 : 몇 세대에 걸쳐 유전적인 원인으로 저항성이 증가한 것
* 내냉성
- 유전적 차이 : 일반계(벼) > 인디카, 통일형
- 작물을 저온에 두면 경화되는 동안에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증가하여 내냉성을 증가시킨다.
※ 내냉성 정도 : 큰 꽃양배추, 순무, 완두 > 강낭콩, 고구마, 옥수수
※ 내냉성이 큰 작물은 저온에서도 잘 굳어지지 않는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아야 하지만 이와 반대로 고온에서는 세포
막의 유동성이 큰 것이 문제되므로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아 고온에서 세포막의 안정성이 큰 것이 내열성 작물이다.
- Proline(amino acid) : 건조 및 수분 부족시 증가 / 저온시 감소
* 염류장해
- 염농도 민감작물 : 콩, 벼, 옥수수
- 염농도 강한작물 : 토마토, 목화, 사탕무, 밀, 보리
※ 염해는 내륙 사막지대에서는 물의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기 때문에 염류의 집적이 심각하다.
* 내염성 식물 : 다량의 proline 함유
- 염조절자 : 염이 체내로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거나 염을 체외로 다량 방출함으로써
체내의 염농도를 어느 수준으로 유지
- 염축적자 : 토양의 낮은 수분퍼텐셜 조건에서 세포의 수분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팽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히려 높은 이온흡수율을 보인다.
- 삼투압 조절물질(osmotic adjustment) : glycine betaine, sorbitol, glycerol, aspartic acid, glutamic acid
* 주요 생장조절제의 시용효과와 사용법
생장조절제 | 일반명 | 작물명 | 효과 | 사용적기 |
토마토톤액제 | 4-CPA | 토마토 가지 |
생장촉진 | 꽃이꽃이 3~5개핀 피었을때 당일 |
지베렐린수용액 | gibberellic acid | 포도(거봉) 딸기 여름국화 |
무종자화 생장촉진 생장촉진 |
개화직전 만개 10일 후 각각 1회 송이를 희석액에 침지 비닐로 덮을 때나 그로부터 1주일 후 생육초기 10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엽면살포 |
클로시포낙액제 | cloxyfonac | 토마토 | 생장촉진 | 1화방에 꽃이 3~5개 피었을때 1회 살포 |
루톤분제 | naphthyl acetic acid | 카네이션 | 발근촉진 | 꺾꽂이 할때 |
아이비에이분제 | IBA | 국화, 카네이션, 하와이무궁화 |
발근촉진 | 꺾꽂이 할때 |
에세폰액제 | ethephon | 토마토 배 |
착색촉진 착색촉진 |
백숙기 개화 후 100일경 과실 지름이 6cm 정도 되었을 때 |
비나인수화제 | daminozide | 포인세티아 | 신장억제 | 적심 후 3일 및 적심 2주 후 각 1회 |
* 식물 생장조절제의 재배적 이용
옥 신 (Auxin) |
줄기 끝에 있는 분열조직에서 합성된 옥신은 끝눈의 생장은 촉진하나 아래로 확산하여 곁눈의 발달을 억제하는데 이 현상은 정아우세로 알려져 있으며 끝눈을 제거하면 곁눈이 발달한다. 그러나 끝눈을 절제 하여도 절제한 자리에 옥신을 흡수시킨 한천 절편을 놓아두면 곁눈은 발달하지 못한다. ① 발근촉진 ② 접목의 활착촉진 ③ 개화촉진 ④ 가지의 굴곡유도 ⑤ 낙과방지 ⑥ 적화 및 적과 ⑦ 착과증대 ⑧ 과실비대 ⑨ 과실의 성숙촉진 ⑩ 생장촉진 및 수량증대 ⑪ 단위결과 ⑫ 제초제로 이용 |
지베렐린 (Gibberellin) |
지베렐린은 옥신과 함께 주로 신장생장을 유도, 옥신과 달리 농도가 높아도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체내 이동에 극성이 없으며 식물체의 어느 부분에 공급하더라도 자유로이 이동하여 줄기신장, 과실생장, 발아촉진, 개화촉진 등 다면적인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① 휴면타파와 발아촉진 ② 화성유도 및 개화촉진 ③ 경엽의 신장촉진 ④ 단위결과 유도 ⑤ 성분변화 ⑥ 수량증대 ↳ 뽕나무에 지베렐린 50ppm액을 살포하면 단백질이 증가 |
시토키닌 (Cytokinin) |
① 뿌리에서 합성되어 물관을 통해 수송되며 세포의 분열과 분화에 관여하여 여러 가지 생리작용에 관여 ② 종자의 발아를 촉진, 특히 파종상 고온으로 2차 휴면에 들어간 상추 종자의 발아증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시토키닌을 처리하면 잎의 생장을 촉진(무)하고 호흡을 억제하여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를 지연 시키며 잎의 노화를 지연(해바라기), 착과를 증진(포도), 모양과 크기를 향상(사과) 저장 중의 신선도를 유지(아스파라거스) 효과가 인정, 식물의 내한성(내동성)도 증대 ③ 일반적으로 시토키닌은 작물체 내에서 충분히 생성되기 때문에 부족현상을 나타내는 일은 거의 없다. 시토키닌은 옥신과 함께 존재해야 그 효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배양시 이들 두 가지 호르몬을 혼용하여 쓰는 것이 보통이다. |
ABA (Abscissic acid) |
잎의 노화 낙엽을 촉진하고 낙엽을 유도한다. 생육중 식물에 휴면아 형성, 종자의 휴면을 연장하여 발아 억제, 단일식물에서는 장일 하의 화성을 유도, ABA가 증가하면 기공이 닫혀서 위조저항성이 커지고 목본식물에서는 냉해저항성이 커진다. 노화 및 탈리촉진, 수분대사 조절, ABA는 잎의 기공을 폐쇄시켜 증산을 억제시킴으로써 식물을 수분부족 상태에서도 견디게 한다. 따라서 ABA는 스트레스호르몬이라고 불린다. |
에틸렌 (Ethylene) C2H4 |
성숙한 과일, 노화과정에 있는 잎, 줄기의 마디에서 합성되며, 식물에 상처가 났을 때, 병원체가 침입하였을 때, 산소부족과 냉해 등과 같은 환경변화에 의해서도 합성이 유도된다. 그래서 에틸렌을 성숙호르몬 또는 스트레스호르몬이라고도 한다. ① 발아촉진 ② 정아우세타파 ③ 생장억제 ④ 개화촉진 ⑤ 성발현의 조절 ⑥ 낙엽촉진 ⑦ 적 과 ⑧ 성숙과 착색 촉진 ↳ 오이와 호박에 에세폰 처리를 하면 암꽃의 착생수가 증대한다 |
* 방사성 동위원소의 재배적 이용
① 작물영양생리의 연구 : 32P, 42K, 45Ca
② 광합성의 연구 : 11C, 14C / 동화물질의 전류 및 축적과정도 14C를 표지화합물로 이용
③ 농업토목에의 이용 : 24Na 등을 이용하면 제방의 누수장소 발견, 지하수의 탐색
④ 영양기관의 장기저장 : 60Co, 137Cs에 의한 r선 조사하면 휴면이 연장되고 맹아억제효과가 크므로 장기저장이 가능
<관 리>
중 경 | 이로운 점 | ① 발아조장 ② 토양통기의 조장 ③ 토양수분의 증발 경감 ④ 비효증진 효과 ⑤ 잡초의 제거 |
해로운 점 | ① 단근 ② 풍식의 조장 ③ 동상해 조장 |
※ 중경작물(옥수수, 수수) / 휴한작물(두과작물) = 윤작작물
* 정 지
입목형 정지 |
원추형 (주간형, 폐심형) |
• 원가지수 많고 원줄기외의 결합이 강하다 • 수고가 높아 관리 불편, 풍해도 심하고 아래쪽 광부족으로 발육불량, 과실품질 불량 |
배상형(개심형) | • 관리하기 편하고 수관내로의 통풍, 투광이 좋다 • 원가지 부담이 커서 가지가 늘어지기 쉽고 결과수가 적어진다. |
|
변칙주간형(지연개심형) | • 원추형으로 수년동안 키우다가 원줄기 선단을 잘라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정지 • 주간형의 단점인 높은 수고와 수관내부의 광부족을 개선한 수형 |
|
개심자연형 | • 배상형 수형의 개선형으로 결과부를 배상형의 경우보다 입체적으로 구성 • 수관 내부가 완전히 열려있어 햇빛의 투과가 양호, 과실의 품질이 좋으며 수고가 낮아 관리 용이 |
|
울타리 정지 | • 포도나무 정지법으로 가지를 2단정도로 길게 직선으로 유인 • 나무의 수명이 짧아지고 수량도 적다 |
|
덕형 정지 | • 지상 1.8m 높이에 가로 세로로 철선을 늘이고 결과부위를 평면으로 만들어 주는 수형 • 풍해를 적게 받고 수량이 많다. 시설비와 작업노력이 많이 들고 정지, 전정과 수세조절이 잘 안되었을 경우 가지가 혼잡하여 과실의 품질저하, 병해충 발생증가 |
<잡초 방제>
* 잡초의 해 작용
① 작물과의 경쟁 ② 유해물질의 분비 ③ 병충해의 전파
④ 품질의 저하 ⑤ 가축에의 피해 ⑥ 미관의 손상
* 잡초종자의 발아 및 출현 특성
발아주기성 | 어떠한 주기를 가지고 최고의 발아율을 나타내며 부적합한 환경을 극복하는 원리로 이해 |
발아의 계절성 및 기회성 | 발아 계절성 : 온도보다는 일반적으로 계절의 특성을 더욱 일정하게 받는 특성 발아 기회성 : 일장보다는 같은 계절에서도 변이성이 큰 온도조절에 기회적으로 감응하여 발아하게 되는 특성 |
발아의 준동시성 및 영속성 | 준동시성 발아형 : 일정 기간 이내에 대부분의 종자가 발아를 마치는 집중 발아형 연속성 발아형 : 발아 조건을 주어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아하는 유형 |
* 논 및 밭 잡초
☞ 논의 우점잡초 : 피 / 물달개비, 사마귀풀, 여뀌바늘 -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 고랭이 / 가래, 벗풀, 올미
☞ 주요 밭잡초 : 둑새풀(겨울의 보리밭, 마늘밭에서 문제 잡초), 바랭이(전국적으로 널리 분포, 가장 문제 잡초), 쇠비름, 깨풀
* 제초제(weed killer)
① 선택성 제초제 : butachlor, bentazon, 2,4-D ☞ 2,4-D 등과 같이 화본과 식물에 안전하고 광엽식물만 제거
② 비선택성 제초제 : glyphosate, paraquat ☞ 약제가 처리된 전체 식물을 제거하는 약제, 글리포세이트 등
③ 이행성 제초제 : glyphosate, bentazon ④ 접촉형 제초제 : paraquat, diaquat
☞ 같은 성분의 제초제일지라도 제형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적절한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 : 물옥잠, 물달개비, 미국외풀, 쇠털골, 피, 마디꽃, 알방동사니
<주요 병충해 및 병해>
해충명 | 분 류 | 가해양식 | 발 생 | 월동형태 및 장소 | 특 징 |
이화명나방 | 나비목 명나방과 |
줄기 가해 | 1년에 2회 | 볏집 노숙유충 속에서형태로 월동 | 제 제1화기 2화기심고경 백수((心枯莖 白穗) )현상 현상, |
멸강나방 | 나비목 밤나방과 |
잎(식엽성) | 매년 비래 | 국내 월동 불가능 | 유충이 잎을 폭식하는 다식성 해충 |
애멸구 | 매미목 멸구과 | 줄기(흡즙 및 바이러스 매개) |
1년에 5회 | 4령약충보리밭 의 형태등에서 로 논둑월의동잡초나 | 보리벼 복지 줄무모늬자이 잎마크병 름병,등의 벼 검바은이러스 줄오갈병 병 매개 , |
끝동매미충 | 매미목 매미충과 | 줄기, 이삭 (흡즙 및 바이러스 매개) |
1년에 4~5회 | 4령약충의 형태로 논둑의 잡초나 벼 그루 등에서 월동 |
성충과 약충이 줄기와 이삭 흡즙, 배설물에 의한 그을음병 유발, 벼 오갈병 매개 = 번개매미충 |
조명나방 | 나비목 명나방과 | 줄기가해 | 1년에 2~3회 | 유충의 형태로 기주의 줄기 속에서 월동 |
1화기 유충의 2~3령충이 옥수수의 엽초나 줄기 속을 식해 |
콩시스트 선충 |
선충류 혹선충과 | (토양해충 뿌리 ) | 콩의 3~4세대 생육기간중 경과 | 알시스 또는트내 유충 에서의 형 월태 동로 | 고있는 온, 저온 시스,트건를조,형성하여 약제 등에방제저항어려할움 |
* 벼의 품종별 벼멸구 요방제 시기 : 조생종 8월하순, 중생종 9월 상순, 만생종 9월 중순
<작물의 수확 및 수확 후 관리>
* 과수의 결과습성
1년생 가지에 결실 | 감, 밤, 포도, 감귤, 무화과, 비파, 호두 |
2년생 가지에 결실 | 복숭아, 자두, 양앵두, 매실, 살구 - 씨가 크다. |
3년생 가지에 결실 | 사과, 배 |
* 봉지씌우기 : 검은무늬병(배), 탄저병(사과, 포도), 흑점병(사과), 심식나방, 흡즙성 밤나방 방제, 사과 등은 열과 방지
☞ 복대 사용 : 가공용 과실을 생산할 때에는 비타민 C 함량 등이 낮아지므로 무대재배하는 것이 좋다
* 낙과 : 과실의 수확전 낙과는 옥신과 에틸렌의 균형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옥신은 낙과억제, 에틸렌은 낙과 촉진
ABA는 낙과 촉진, 시토키닌 · 저온 · 칼슘이온은 낙과 억제
* 필름종류와 멀칭효과 – 병 해충 방제 효과는 없다.
구 분 | 투 명 | 녹 색 | 흑 색 |
지온상승효과 | 크 다 | 중 간 | 지온이 높을때 낮춰준다 |
잡초방제 효과 | 많아진다 | 거의 억제 | 거의 억제 |
☞ 작물이 멀칭한 필름속에서 상당한 기간 자랄 때에는 흑색이나 녹색의 필름은 큰 피해를 주며 투명 필름이 안전하다.
* 도정에 의한 벼의 정곡환산율
정곡<식용가능> | 제현<현미> | 정 백 | ||
<백미> | <칠분도미> | <오분도미> | ||
중량 72% / 용량 50% | 중량 74~80% / 용량 55% | 중량 92~95% / 용량 92~96% | 중량 94~95% | 중량 96% |
* 발아를 시작하기 위한 종자 내의 수분 함량
구분 | 벼 | 옥수수 | 사탕무 | 밀 | 쌀보리 | 콩 | 완두 |
종자기사 기준 | 26.5% | 30.5% | 31.0% | 40.8% | 50.0% | 59.8% | |
농업직 기준 | 23% | 30% | 50% | 100% |
* 볍씨의 선종에 쓰이는 비중 표준
쌀보리, 밀, 호밀 | 까락이 없는 몽근메벼(무망종) | 까락이 있는 메벼(유망종), 겉보리 | 찰벼와 밭벼 | 통일벼 |
1. 22 | 1. 13 | 1. 10 | 1. 08 | 1. 03 |
* 작물의 수확 후 처리
원예작물 수확 후 처리 |
후 숙 | 예 랭 | 큐 어 링 | 예 건 |
청과물, 과실 | 청과물, 호흡량감소시키고 저장력 증가 | 구근류, 상처처리 저장성 향상 |
엽채류, 마늘 → 저장력 증대 |
큐어링 | 시기 또는 조건 | 온 도 | 습 도 | 기 간 |
고구마 | 수확 후 1주일 이내 | 30 ~ 33℃ | 85 ~ 90% | 4~5일 |
감 자 | 수확 후 | 15 ~ 20℃ | 85 ~ 90% | 2주일 |
양 파 | 건조 잘된 양파 | 30 ~ 35℃ | 70 ~ 80% | 5일 |
글라디올러스 | 수확 후 10일 본저장 전 | 22 ~ 37℃ | 90 ~ 95% | 3~4일 |
* 저온작물인 감자는 1~4℃, 고온작물인 고구마는 12~15℃에서 저장한다.
* CA저장의 원리는 CO2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재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지도사, 연구사 및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재배학 요점 정리 5. 재배기술 (0) | 2022.01.05 |
---|---|
농촌지도사 및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재배학 요점 정리 4. 변온과 작물의 생장 2 (0) | 2021.07.17 |
농촌지도사 및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재배학 요점 정리 4. 변온과 작물의 생장과의 관계 (0) | 2021.06.29 |
농촌지도사 및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재배학 요점 정리 3. 재배환경 (0) | 2021.06.27 |
농촌지도사 및 농업직 공무원 시험 대비 재배학 요점 정리 2. 작물의 유전성 (0) | 202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