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 장 옥수수
□ 학습목표
1. 옥수수의 식물 형태와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2. 발아와 옥수수의 독특한 화기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3. 옥수수의 재배과정과 옥수수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4. 타식성 작물인 옥수수의 수분과 채종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5. 옥수수의 용도와 기능성 물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학습내용
1. 형태와 생육
1) 줄 기
옥수수는 외떡잎식물로서 줄기의 각 마디에 잎이 달린다. 잎은 마디에서 발생하여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자라다가 옆으로 뻗는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부위를 잎집(엽초)이라
하며 옆으로 뻗어나간 부위를 잎몸(엽신)이라 한다. 잎집과 잎몸의 경계 부위에는
입혀(엽설), 잎귀(엽이)가 있는데 이는 벼, 보리 등과 동일한 특징이다. 줄기에서 가지를
치는 경우도 있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곁가지가 많이 달리는 것도 있다.
2) 뿌 리
옥수수의 뿌리는 어린뿌리(유근), 종자근, 수염뿌리(관근), 곁뿌리(측근)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종자를 심으면 제일 먼저 약간 굵은 뿌리 하나가 싹터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어린뿌리이다.
어린뿌리가 나온 후 이보다 약간 가는 몇 개의 뿌리가 나오는데, 이를 종자근이라 한다.
어린뿌리와 종자근은 길게 자라지 않으며 곧이어 지하줄기 아랫부분(첫번째 마디)에서
수많은 수염뿌리가 생긴다. 지표 가까운 지상줄기 마디에서도 뿌리가 발생하는데, 이를
곁뿌리라 한다.
3) 암이삭과 수이삭
일반적으로 ‘이삭’은 많은 종실이 뭉쳐 있는 형태를 일컫는데, 옥수수의 경우 수꽃과
암꽃이 각각 1개의 꽃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꽃들이 뭉쳐서 이삭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꽃이라는 용어 대신에 암이삭(雌性花序) 또는 수이삭(雄性花序)이라는
용어를 쓴다. 흔히 수염이라고 부르는 부분은 암이삭 중 암술머리 및 암술대에
해당된다. 보통 1개의 옥수수 줄기에 1~3개의 암이삭이 달리나 품종과 재배환경에
따라서는 여러 개가 달리기도 한다. 옥수수의 암이삭과 수이삭은 개화 시기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수이삭이 먼저 핀다. 이러한 현상을 웅예선숙(雄蕊先熟)이라고 한다.
종실은 배젖(배유, 씨젖), 배(씨눈) 및 껍질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실 전체
무게에서 배젖이 약 83%, 배가 12%를 차지하여 다른 밭작물에 비해 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4) 발 아
종자를 심으면 서서히 물을 흡수하면서 배젖에 저장된 양분들이 분해되어 바로
이동한다. 종자 속에 있던 뿌리 부위가 먼저 나오는데 이 뿌리를 어린뿌리라 하며,
어린뿌리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이보다 가는 몇 개의 종자근이 나온다. 이 어린뿌리와
종자근은 오래 살지 못하고 수염뿌리가 발생하여 수염뿌리를 통해 양분과 수분 흡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옥수수 줄기에는 보통 20~23개의 마디가 있고 여기에 잎이
1개씩 달린다. 땅위로부터 제5~7마디에 달리는 잎은 크기가 작은 편이며 그 후 생기는
잎은 점차 커지는데 암이삭이 형성되는 마디의 잎이 가장 크다.
5) 수 정
옥수수 키가 다 자란 후부터 생식생장기가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옥수수 싹이 돋아난
후 30여 일이 지나면 외관상 아직 작아도 줄기의 하단 부분(지표면)에 있는
생장점(육안으로 관찰하기는 어려우나 현미경으로 확인 가능)에는 앞으로 나올 각
마디의 잎이 이미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어린꽃눈들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수이삭이 완전히 밖으로 나온 지 7일 정도 지나면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며, 이
때부터 1~3일 후면 암이삭의 암술대, 즉 수염도 나와 꽃가루를 받을 수 있다. 암이삭은
곁가지의 끝에 달리는데 이삭의 크기는 싹이 튼 후 6~9주 사이에 결정된다.
옥수수는 이삭의 수염 하나하나가 암술대이며 그 끝이 암술머리이다. 이 암술머리가
아래로 늘어져 있어 수염의 끝에 꽃가루가 닿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따라서 옥수수의
경우 다른 식물체와는 달리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닿지 않고 그 중간인 암술대에
붙어도 그곳에서 꽃가루가 내부로 싹이 나면서 아래의 씨방(열매가 달리는 자루
부문)쪽으로 길게 자라 그 속의 정핵이 난핵과 수정을 하게 된다. 옥수수의 수염
하나하나가 모두 수분되고 또 수정이 이루어져야 이가 고른 옥수수 이삭이 되는
것이다.
2. 품 종
1) 잡종강세
옥수수는 한 식물체 내에 암이삭과 수이삭이 서로 다른 위치에 달리고 이들 간에 교잡이
일어나 종자가 맺히는데, 만약 수년 동안 계속해서 같은 식물체 내의 암수가 수정되어 생긴
옥수수를 심으면 옥수수의 키가 작아지고 수확량도 줄어든다. 이러한 현상을 자식열세라 한다.
이와 달리 서로 다른 계통 간 교잡이 일어나 수정된 옥수수를 심으면 그 양친보다 생육이
더 왕성한 식물체 및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잡종강세라 한다.
2) 육종방법
(1) 1대교잡종품종
먼저 우수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개체나 계통을 선택하여 5세대 정도 자식(자가수분,
selfing)시켜 자식계통을 만든다. 자식은 동일한 식물체 내의 암수끼리 교배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얻은 종자를 심고 다시 그 개체 내의 암수끼리 교배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5세대 정도 하면 그 후대의 옥수수 개체들은 식물체 크기가 작아지고 수량은
낮아지나 균일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유전적으로 거의 순수한 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를 자식계통이라 한다. 자식계통을 여러 개 확보하면 이들 간 상호교잡을
시킨 뒤 각각의 조합에서 얻어진 수정종자(1대잡종)를 심고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는데,
이를 조합능력검정이라 한다. 한 쌍의 부모 조합으로부터 1대교잡종품종을 얻을 수도
있지만 이를 변형하여 3개(3계교잡종) 또는 1대잡종 간 교잡(복교잡종)에 의해
잡종품종을 얻는 경우도 있다.
옥수수 1대잡종품종을 개발할 경우 단순한 두 부모로부터 얻는 단교잡종이 잡종강세가
높은 관계로 균일도가 우수하고 수량성이 많으면서 교잡시키기 용이하여 가장
일반적이지만 종자 생산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어 3개 혹은 4개의 양친을 이용한
복교잡종도 이용된다. 복교잡종의 경우 종자 생산량은 많으나 채종 기간이 더 오래
걸리고 잡종강세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면 잡종 종자의 균일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2) 합성품종
합성품종도 초기 과정은 1대교잡종품종 육성과 비슷하다. 즉, 먼저 자식계통들을 만든
뒤 상호간에 차례로 조합을 짜서 인위적으로 교잡시킨다. 각각의 조합에서 얻은
종자(hybrid)를 심고 평가한 뒤 우수한 교잡종을 선발한다. 우수한 잡종들의 부모를
확인하고 특성이 서로 다른 우수 부모계통들을 섞어서 심은 뒤 자연 상태에서
상호교잡을 시킨다. 여기에서 얻은 종자를 보급하게 되는데 이를 합성품종이라 한다.
합성품종의 경우 잡종강세의 발현 정도가 다소 낮고 개체 간 균일성도 떨어지지만
종자 생산이 쉽고 지역적응성이 우수한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방임수분품종
일반 농가에서 유지해오는 재래종 품종들이 이에 해당된다. 전년도에 골라낸 이삭들을
밭에 섞어 심고 불량한 형질을 보유한 개체는 도태시킨 후 자연 상태에서 상호교잡에
의해 맺히는 이삭 중 일부를 선발하여 다음해 종자로 쓰는 것이다.
3) 용도에 따른 품종
옥수수는 종자의 특성에 따라 마치종, 경립종, 단옥수수, 찰옥수수, 튀김옥수수 등이
있다. 옥수수 종자의 주성분은 전분인데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밀로펙틴이 95% 이상인 전분을 찰(waxy)이라 하고 아밀로오스가 25% 전후로
포함된 전분을 메(non-waxy)라 한다.
(1) 마치종
사료용으로 많이 재배되는 옥수수 종류로서, 껍질이 두꺼워 식용으로는 경립종에 비해
떨어진다. 미국에서는 흰색 마치종 옥수수를 콘플레이크(cornflake)나 콘밀(corn meal)을
만드는 데 이용한다. 다른 종류에 비해 이삭과 종자가 크다.
(2) 경립종
경립종은 아시아,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식용으로 많이 쓰이며 사료나
공업원료로도 이용된다. 종자가 매우 단단하고 껍질이 매끄러우면서 윤기가 난다. 이삭은
비교적 가늘고 길며 마치종에 비해 종자의 크기가 작은 편이다.
(3) 단옥수수
단옥수수는 수확 후 바로 풋이삭을 삶아 직접 먹거나 가공 및 통조림으로 이용한다.
다른 종류의 옥수수들은 종자가 성숙하면서 당분이 전분으로 합성되어 종자 내에
축적되지만 단옥수수는 이러한 합성과정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당 함량이
높으며 단맛이 강하다.
(4) 찰옥수수
찰옥수수의 전분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자가 불투명하며 대체로
우윳빛을 띤다. 외형은 경립종과 비슷한 것이 대부분인데 간혹 마치종 모양의 품종도
있다.
(5) 튀김옥수수
튀김옥수수는 종자의 크기가 매우 작으며 특성은 경립종과 유사하다. 종자 전분의
대부분이 경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연질이 일부 있다. 열을 가하면 연질 전분의
수분과 공기가 팽창하여 이를 둘러싼 딱딱한 경질 부분을 급격히 파괴하며 튀겨진다.
종자의 수분 함량이 13.5~14.5%일 때 가장 잘 튀겨지며 이보다 낮거나 높으면 충분히
튀겨지지 않는다.
3. 재배기술
1) 비료주기
옥수수는 시비한 비료를 100% 흡수하지 못하며 성분에 따라 흡수효율도 다르다.
일반적으로 비료의 흡수율은 질소가 50~60%, 인산이 20%, 칼리가 40~50% 정도이다.
교잡종은 대체로 비료를 충분히 주어도 잘 자라며 쓰러지지 않으나, 재래종들은
비료량을 늘리면 쓰러지기 쉬워 표준시비량이 적은 편이다.
2) 파종
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약 60cm 간격으로 골을 만들고 골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1알
또는 2알씩 심는 점파를 한다. 너무 많이 심으면 식물체가 연약하여 쓰러지거나
병충해에 약해질 가능성이 커진다.
발아율이 좋지 않은 단옥수수나 초당옥수수를 심을 때는 한 포기에 2~3알씩 심은 뒤
싹이 난 이후에 건전하고 충실한 1개체만 남기고 솎아준다. 단옥수수의 경우는 당분이
많아 싹트기 전에 병원균의 침입을 받기 쉬우면 발아율이 낮은 경우가 많다.
3) 잡초 제거
옥수수 밭에는 토양처리 제초제를 쓰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는 옥수수수용
제초제로는 리누론 수화제, 메투프, 알라, 펜디 등과 이들의 혼합성제들이 있다.
4) 솎아주기, 웃거름주기
싹이 튼 이후에는 솎아주기, 제초, 웃거름주기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발아율이 나쁠
것으로 예상하여 한 포기에 여러 알을 심었을 경우에는 싹이 난 후, 한 개체만 남기고
솎아준다.
5) 시설 재배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및 찰옥수수는 완전히 성숙하기 전 풋옥수수 상태로 시장에
출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수확시기에 따라 그 값이 크게 차이 나므로
시설재배를 통하여 시장에 내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경영 측면에서 유리하다.
6) 병 해
우리나라에서 옥수수 재배시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는 그을음무늬병, 깨씨무늬병,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등이 있다.
(1) 그을음무늬병 및 깨씨무늬병
그을음무늬병은 주로 생육 중기 이후에 발생하는데, 비교적 온도가 낮고 습한 조건에서
많이 생긴다. 잎에 청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주변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기다란
모양으로 변한다. 가운데가 검게 변하며 그을음곰팡이가 발생한다. 병든 개체의 잎
속에서 병균이 월동하므로 잎을 충분히 썩히거나 태우는 것이 좋으며, 피해가 심한
밭은 옥수수를 계속 심지 말고 다른 작물과 바꾸어 재배한다.
(2) 검은줄오갈병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병이다. 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멸구가 이 병을 옮기며
벼에도 같은 병이 나타난다. 이 병에 걸리면 마디가 짧아져 키가 자라지 못하고 잎의
크기도 짧아져 위로 향하면서 짙은 녹색으로 변한다.
7) 충 해
옥수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는 조명나방, 멸강나방, 거세미나방 등이 있다.
(1) 조명나방 및 멸강나방
조명나방 유충이 옥수수 줄기 속을 파고 들어가 갉아먹음으로써 그 윗부분이 말라
부러지는 피해를 입는데, 이 유충은 이삭 속으로도 들어가 피해를 준다.
(2) 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유충도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어린싹의 밑동을 자르거나 갉아먹는다.
낮에는 땅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농약을 살포해도 효과가 적다.
8) 수 확
옥수수의 수확시기 결정과 수확방법은 옥수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사료용 옥수수는
어릴 때 베어서 푸른 잎과 줄기(생초)를 가축에게 먹이거나 이삭이 거의 성숙하였을 때
수확하여 사일리지(담근먹이)를 만든다. 사일리지를 만들 때에는 옥수수가 누렇게 익을
때 수확하는 것이 좋은데, 일반적으로 이삭이 나온 후 40일 전후를 수확적기로 본다.
단옥수수의 수확시기는 수확 후의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옥수수 이삭을 직접 먹을
경우(풋옥수수)는 옥수수가 말랑말랑하면서 누르면 우유 같은 즙이 나오는
시기(유숙기)의 초기나 중기가 적당하며 알맹이를 통조림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종실이
약간 여물기 시작하는 유숙기 말기가 적당하다.
종실용 옥수수는 이삭껍질이 누렇게 변하면서 알맹이가 단단해지는 성숙기에 수확한다.
옥수수 종실의 수분 함량은 30% 정도이다. 기계로 수확할 경우에는 종실의 수분 함량이
25% 정도 될 때까지 말린 다음 수확하는 것이 탈곡작업에도 유리하고 수확률도 높다.
4. 성분과 이용
1) 주요 성분
(1) 일반성분
종실용 옥수수 종자의 주성분은 전분으로서 약 72%를 차지하고 그 밖에 단백질 10%,
지방 5%, 섬유소 3%, 당분 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수수 종실은 다른 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황색종 옥수수인 경우에는 비타민 A가
풍부하다. 또한 비타민 B1, B2, B6, 비오틴, 니코틴산, 판토텐산, 피리독신과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2) 옥수수 전분
옥수수 전분은 종실 부위 중 배젖에 주로 함유되어 있고, 배에는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특히 높다.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메옥수수는
아밀로오스 25%와 아밀로펙틴 75%로 구성된 반면 찰옥수수는 아밀로펙틴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메이신
최근에 밝혀진 메이신(maysin)이라는 성분은 옥수수수염 속에서 추출된 플라보노이드
일종으로 메밀의 루틴, 녹차의 카테킨과 마찬가지로 항산화 기능성이 매우 높다.
옥수수 이삭을 해치는 유충들의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수수 수염 속에는 기름, 정유, 고무질, 수지, 사포닌, 크립토산틴, 아스코르빈산,
판토텐산, 비타민 K, 이노시폴, 알칼로이드 외에도 여러 종류의 미량 성분이 들어있다.
옥수수 수염에서의 메이신 성분 추출 및 분리가 힘들어 그 동안 상용화가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옥수수수염 생산 수율 및 함량 증대기술 개발을 통해 생산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2) 옥수수의 용도
옥수수는 재배작물 중에서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가장 많은 작물에 속한다. 옥수수는 그
용도가 식용, 옥수수기름, 가축 사료 외에도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식용은 품종의 특성에 따라 그 용도가 다른데 단옥수수, 찰옥수수 및 일부 경립종은
풋옥수수 상태로 직접 찌거나 삶아 먹으며, 튀김옥수수는 간식용으로 튀겨서 먹는다.
때에 따라서는 가루를 내어 빵 또는 수프를 만들고 과자나 엿, 떡 등을 만들기도 한다.
<학습평가문제>
1. 찰옥수수와 메옥수수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찰옥수수는 메옥수수보다 단백질 함량이 특히 높다.
② 찰옥수수는 메옥수수보다 지방 함량이 특히 높다.
③ 찰옥수수는 메옥수수보다 전분 함량이 특히 높다.
④ 찰옥수수는 메옥수수보다 아밀로펙틴 함량이 특히 높다.
(해설) 메옥수수는 아밀로오스 25%와 아밀로펙틴 75%로 구성된 반면 찰옥수수는 아밀로펙틴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옥수수에 많이 발생하는 병이 아닌 것은?
① 자반병 ② 깜부기병
③ 그을음무늬병 ④ 검은줄오갈병
(해설) 옥수수 재배시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는 그을음무늬병, 깨씨무늬병,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등이 있다.
3. 다음 중 단옥수수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성숙 후기로 갈수록 당도가 점차 높아진다.
② 수확 후 저장기간이 길수록 당도가 높아진다.
③ 당분이 전분으로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유전자가 있다.
④ 종자가 아주 작아 당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
(해설) 일반 옥수수들은 종자가 성숙하면서 당분이 전분으로 합성되어 종자내에 축적되지만
단옥수수는 이러한 합성과정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당함량이 높으며 단맛이 강하다.
4. 단교잡종과 합성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형태적으로 합성품종이 훨씬 더 균일하다.
② 단교잡종에서 잡종강세가 더 크게 나타난다.
③ 단교잡종은 생산 원가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④ 종자회사에서 주로 판매하는 종자는 합성품종이다.
(해설) 단교잡이 합성품종에 비해 잡종강세가 강하다.
5. 밭작물 중 씨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작물은?
① 옥수수 ② 보리
③ 밀 ④ 콩
(해설) 옥수수는 전체 무게에서 배젖이 약 83%, 배가 12%를 차지하여 다른 밭작물에 비해 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6. 옥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옥수수의 꽃은 웅예선숙을 한다.
②옥수수의 웃거름으로는 유안비료를 쓰는 것이 요소비료를 시용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③사일리지 목적일 때가 종자 수확을 목적으로 할 때보다 보통 밀식한다.
④옥수수 수확기를 너무 빨리 하면 당분 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은 높다.
(해설) 옥수수를 너무 빨리 수확하면 당분 함량은 높으나 옥수수 알맹이가 덜 자라 생산량이
적다. 종자 수확이 목적일 때에는 60 × 30cm 간격, 식용과 사일리지 목적일 때에는 60 × 25cm로
재식거리를 조절한다.
7. 잡종강세의 발현 정도가 낮고 개체 간 균일성도 떨어지나 종자 생산이 쉽고
지역적응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품종은?
①1대잡종품종(hybrid)
②합성품종(synthetic variety)
③방임수분품종(open pollinated variety)
④여교잡품종(backcross variety)
(해설) 합성품종의 장점은 종자 생산이 쉽고 지역적응성이 우수한 것이며, 합성품종의 단점은
잡종강세의 발현 정도가 다소 낮고 개체 간 균일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방임수분 품종은
자연상태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선발되어 왔기 때문에 그 지역에 대한 환경적응성과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을 지녔다.
8. 일반 농가에서 유지해 오는 재래종 품종들은?
①1대잡종품종(hybrid)
②합성품종(synthetic variety)
③방임수분품종(open pollinated variety)
④여교잡품종(backcross variety)
(해설) 일반 농가에서 유지해 오는 재래종 품종들은 방임수분품종이다. 품종개량 효과는
미미하지만 그 지역에 대한 환경적응성과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9. 자웅동주이화식물(雌雄同株異花植物)은?
① 옥수수 ② 콩
③ 수수 ④ 메밀
(해설) 옥수수는 수꽃과 암꽃이 각각 1개의 꽃으로 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꽃들이 뭉쳐서
이삭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꽃이라는 용어 대신에 암이삭, 수이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옥수수의 암이삭과 수이삭은 개화시기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수이삭이 먼저
핀다. 이러한 현상을 웅예선숙이라고 한다.
10. 재배작물 중 대표적인 C4식물은?
① 옥수수, 수수 ② 보리, 밀
③ 메밀, 콩 ④ 호밀, 귀리
(해설) 옥수수, 수수는 C4식물이다.
11. 옥수수의 뿌리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유근 ② 종자근
③ 관근 ④ 주근
(해설) 옥수수 뿌리는 어린뿌리(유근), 종자근, 수염뿌리, 곁뿌리 등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종자를 심으면 제일 먼저 약간 굵은 뿌리 하나가 싹터 나오는데, 이것이 어린뿌리이다.
어린뿌리가 나온 후 이보다 약간 가는 몇 개의 뿌리가 나오는데, 이를 종자근이라고 한다.
12. 옥수수 종자가 성숙하면서 당분이 전분으로 합성되어 종자 내에 축적하는 과정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가진 옥수수는?
① 마치종(dent corn) ② 단옥수수(sweet corn)
③ 찰옥수수(waxy corn) ④ 경립종(fline corn)
(해설) 단옥수수는 당분이 전분으로 합성되는 과정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당함량이
높으며 단맛이 강하다.
13. 서로 다른 계통간 교잡이 일어나 수정된 옥수수를 심으면 그 양친보다 생육이 더 왕성한
식물체 및 높은 수량을 얻는 현상은?
① 자식열세 ② 잡종강세 ③ 경화현상 ④ 춘화현상
(해설) 자식약세는 수년 동안 계속해서 같은 식물체 내의 암수가 수정되어 생긴 옥수수를 심으면
옥수수의 키가 작아지고 수확량도 줄어든다. 잡종강세는 서로 다른 계통간 교잡이 일어나 수정된
옥수수를 심으면 그 양친보다 생육이 더 왕성한 식물체 및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다.
<정답>
'식용작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2. 메 밀 (0) | 2023.02.23 |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11. 기타콩과작물 (0) | 2023.02.22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9. 밀 (1) | 2023.02.20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8. 보 리 (1) | 2023.02.18 |
국가직, 지방직 농업직, 9급, 7급 공무원 등 필수 식용작물학 요점 정리 7. 고구마 (1)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