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 미용학, 미용사 일반 등 소독법과 전염병학 요점 정리 14. 역학의 이해
14. 역학의 이해
1. 역학(疫學)의 정의
• 사람들의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유행적인 질병의 발생 또는 분포나 경향 등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과학적인 학문이다.
• 현대의 역학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자리 잡고 있다. 그에 맞는 역할은 한
집단의 질병 분포와 크기를 체크하고 질병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며 검정하는
것이다.
2. 역학에 사용되는 용어
• 역학은 질병의 양상을 서술하기 위해 전문용어를 사용한다.
1) 유병률(p reva lence)
• 집단 내에서 질병에 걸린 사람들의 비율을 백분율로 정의한 것이다.
2) 발병률(incid ence)
• 질환의 발생을 일정 지역과 기간에 한정하여 질병의 발생 수를 인구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3) 유행성(ep id em ic)
• 일정 기간에 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발생하며 급속도로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4) 범유행성(p a nd em ic)
• 세계보건기구(W HO )의 전염병 경보 단계로 세계적으로 널리 전파된 것을 말한다.
5) 풍토병(end em ic d isea se)
• 특정 지역에서 질병이 지속적 발생되는 특징으로 지방병적 유행에 속한다.
6) 산발적(sp ora d ic)
• 질병 발생이 지역과 상관없이 흩어져 나타나 서로가 관련이 없는 것을 말한다.
7) 집단 감염(outb rea k)
• 질병 발생이 특정 집단 내에서 나타난 것을 말한다.
3. 역학의 목적
• 질병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고, 제거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다. 역학이 처음
사용되었을 때 그 연구 대상이 된 질병은 대부분 전염성이 강한 유행병들이어서
역학의 발전은 감염병이 창궐하였던 시대에 이를 예방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발달되어 온 학문이었다.
• 현재에는 치매, 암,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및 직업병, 교통사고, 자살, 희귀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 새로운 역학에 필요한 요인을 찾아 분석하여 누구나 질병으로부터 미리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4. 역학의 역할
1) 질병 발생의 원인 규명 역할
• 질병이 왜 발생하는지, 어떻게 병이 퍼지고 유행하는지의 원인을 찾아내고 규명
하는 것이다.
2) 질병의 자연사에 대한 연구 역할
• 병의 발생, 병의 진행과정,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자료를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3) 질병 발생과 유행의 감시 역할
• 질병의 발생과 유행을 막기 위해서 질병이 발생하기 전이나 발생 초기에 이상
징후를 잘 감시하여 질병의 진행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건강 장애 요인을 확인하는 역할
• 현재는 질병이 없다고 하더라도 건강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는 위험 요인과
접함으로써 질병을 얻을 수 있는 요소들을 관찰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5) 보건사업 기획과 평가의 역할
• 각종 보건사업의 기획에 따라 진행된 보건사업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6) 임상 분야에 활용하는 역할
• 역학 연구를 통하여 얻은 많은 정보들은 임상적 연구에 활용되는데, 이러한 임상
연구는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며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5. 역학의 조사내용
• 역학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과 감염 경로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질병 발생 지역에서 시간, 분포를 관리하여 이에 따른
질병관리와 대책을 수립하여 평가한다.
• 또한 질병의 자연사를 자세히 파악해야 정확하게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의료비와
의료시설 그리고 인력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에 따른 문제들을
연구하여야 한다. 역학의 원리와 방법론을 활용하여 임상 연구와 진단, 치료 등에 이용한다.
• 역학의 조사내용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역학조사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1) 감염병 환자 등의 인적 사항
2) 감염병 환자 등의 발병일 및 발병 장소
3) 감염병의 감염 원인 및 경로 파악
4) 감염병 환자 등에 관한 진료기록
5) 그 밖에 감염병의 원인 규명과 관련된 사항
6. 질병 발생의 역학적 모형
1) 역학적 삼각형 모형
• 병인, 숙주, 환경 요인에 따른 상호관계에 의해 질병이 발생된다는 학설이다. 3가지
요인이 균형을 이루면 건강을 유지하는 상태, 균형이 깨지면 질병에 노출된 상태로,
감염병의 유행기전을 설명하기 위한 모범적인 모형이다.

2) 거미줄 모형
• 질병 발생의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어 거미줄처럼 복잡한 질병의
발생설을 말한다. 이 모형은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심장 질환 등과 같은 비전염성
질환을 이해하기 유리하며, 거미줄처럼 엉켜있는 여러 요인을 적절하게 차단하여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3) 수레바퀴 모형
• 사람과 환경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으로 생물 ∙ 물리 ∙ 화학 ∙ 사회의 환경과
인간 숙주의 내적, 유전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질병이 발생됨을 설명한다. 거미줄
모형과는 다르게 숙주와 환경 요인을 구분하며, 질병 발생에 대한 원인 요인들의
기여 정도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표현한다.
